“잘못된 역사 인식 현재도 수많은 피해 양산…위안부 합의, 몰역사 인식 참사”
최재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자유한국당 혁신 선언문의 건국절 주장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 혁신 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최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내일은 72번째 맞는 광복절”이라며 이같이 촉구했다.
최 전 의원은 “올해는 임시정부 수립 98년째 해이고 2년 뒤에는 3.1운동의 뜻을 이어받은 대한민국 건국이 꼭 100년이 된다”며 “그러나 이처럼 자랑스러운 우리 역사를 자유한국당은 굳이 왜곡하고 축소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최 전 의원은 “자유한국당의 혁신선언은 대한민국을 1948년 8월 15일에 건국한 것으로 선언했다”면서 “뜻깊은 광복절을 건국절이란 괴상한 기념일로 만들려고도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 전 의원은 “자유한국당의 이런 잘못된 역사인식은 친일에 기반한 자신들의 뿌리 때문”이라며 “헌법에 명시된 임시정부를 부정하고,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은 광복보다 분단으로 어쩔 수 없이 남한에서만 이뤄진 정부수립을 더 큰 나라의 경사라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은 독립운동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광복과 민주정부의 역사에는, 친일을 바탕으로 한 그들의 자리가 없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최 전 의원은 “이러한 잘못된 역사인식은 현재에도 수많은 피해를 만들고 있다”면서 “지난 박근혜정부의 위안부 합의는 그들의 몰역사적 인식에 의한 참사였다”고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성토했다.
또 “친일은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었다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하는 인물들이 고위직에 올라 독립후손들에게 애국심을 말하는 웃지 못할 시대를 겪었다”며 비판했다.
그러면서 최 전 의원은 “자유한국당은 분명히 답하라”며 “자신들의 뿌리가 대한민국 헌법이 정한 임시정부에 있는지 아니면 친일에 있는지를, 또한 자신들이 지향하는 대한민국이 촛불시민인지 박근혜 정부에 있는지”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바른정당과 국민의당도 한국당의 왜곡된 역사의식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독립유공자와 가족 등 240여명과의 오찬에서 “2년 뒤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라며 대한민국 건국 시점을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로 못박았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 기념관’을 건립해 후손들이 독립운동 정신을 기억하게 하고, 보훈문화가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늦기 전에 독립유공자와 유적을 더 많이 발굴하고 연구해 역사에 기록되게 하겠다”며 “대한민국 건국 100년을 되돌아보면서 앞으로 100년을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