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故 김군자 할머니 빈소 방문.. “합의내용 꼼꼼히 검토, 방향 모색할 것”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89)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37명으로 줄었다. 김 할머니 사망 소식에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여야 정치권은 일제히 애도를 표하는가하면 ‘한일 위안부 합의 백지화’와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내놨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페이스북을 통해 “할머니는 16세에 납치당해 중국에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난을 겪으셨다”며 “그 후 일본의 전쟁범죄를 증언하고 기부를 통해 남을 돕는 일에 평생 헌신하셨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 할머니를 ‘강인한 생존자’, ‘용감한 증언자’로 칭하며 “지난 2015년 12월31일 나눔의 집에서 할머니를 뵈었을 때 ‘피해자는 우리’라고 말씀하셨던 그 모습을 기억합니다. 이제 모든 고통을 내려놓고 하늘에서 평안하십시오”라고 애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논평을 내고 “박근혜 정부에서 잘못된 위안부 합의를 바로잡지 못한 채 눈을 감게 해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은 일본의 위안부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은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한과 고통을 풀어드리는 데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했고, 바른정당은 일본정부에 사과를 요구하며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는 꽃 같은 영혼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살아서도 죽어서도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정당한 배상을 통한 명예회복”이라며 “일본 아베 총리가 지금이라도 위안부 피해자들 앞에 무릎 꿇고 진심으로 사죄하기를 다시 한 번 강력히 요청한다”고 전했다.
또한 “우리 정부도 잘못된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백지화하고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제대로 된 협정을 다시 체결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에서 “얼마 전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강 장관은 12.28 위안부 합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한 바 있다”며 “고인이 편히 눈을 감는 길도, 생존자들이 명예를 회복하는 길도, 굴욕적 12.28 합의를 폐기하는 데 있다. 정부는 조속히 결단해 잘못된 합의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3일 故 김군자 할머니 빈소를 찾아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을 꼼꼼히 검토해, 향후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KBS>에 따르면, 이날 강 장관은 조문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이 분명히 말씀하셨듯이 국민이 정서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피해자 분 중 또 한 분이 흡족한 답을 못 얻고 가셨다”며 “외교부는 합의 내용이나 협상 경과를 좀 더 꼼꼼히 검토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