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민석 “김성태와 장시호에 공개면담 제의, 정유라 만나라 할 것”

“정유라 입국, 최순실 지시…박근혜, 증인 430명 ‘구속기간 만료 작전’”

▲ 박근혜 전 대통령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조카 장시호(좌)씨와 딸 정유라(우)씨. <사진제공=뉴시스>
▲ 박근혜 전 대통령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조카 장시호(좌)씨와 딸 정유라(우)씨. <사진제공=뉴시스>

최순실씨의 조카 장시호씨가 구속 기간 만료로 8일 석방된 가운데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과 함께하는 공개 면담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정유라가 최순실 이야기는 안 들어도 장시호 이야기는 듣는 그런 관계”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의원은 “장시호(1979년생)가 정유라(1996년생)와 17살 차이로 엄마 같은 언니인 셈”이라며 “정유라가 승마를 하게 된 것도 장시호를 보면서이고 짧은 삶의 궤적에서 장시호가 끼친 영향이 상당하다”고 관계를 짚었다. 

이어 안 의원은 “그래서 지금 정유라는 빨리 장시호를 만나야 된다”며 “정유라가 저런 식으로 거짓말을 하게 되면 완전 국민거짓말쟁이가 된다”고 우려했다. 

그 예로 정유라씨의 입국 당시 발언을 지적했다. 안 의원은 “정유라는 자기가 무슨 전공인지 몰랐다고 하는데 2016년 최순실, 정유라가 이대에 가서 운동역학 담당교수, 글로벌체육봉사 교수, 운동생리학 교수 등 교수들을 쭉 만났다”고 반박했다. 

또 안 의원은 “정유라는 2014년 10월 중앙대, 이화여대, 한국체대에 메달을 들고 다니면서 체육특기생 면접을 보러 다녔다”며 “그런데도 자기 전공을 몰랐다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거짓말을 하기로 작정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장시호씨가 정유라를 빨리 만나서 이런 식으로 거짓말 해서는 안된다, 정직하고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설득하는)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혼자 만나면 오해를 받으니 청문위원장이었던 김성태 의원과 세명이서 만나면 별다른 의심도 안 받고 모양새도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에 김성태 의원은 “오늘 안민석 의원이 하는 ‘최순실 부정축재 재산환수 특별법 공청회도’에 나도 참석한다”며 “사안의 중요성에 대해, 현재까지 풀어지지 않는 의혹에 대해 더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이라고 100% 인정되면 만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장시호씨는 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 때도 동행명령장이 발부된 35명 증인 중 공직자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집행에 응해 출석한 사람”이라고 되짚었다. 

김 의원은 “장씨가 그런 용기를 가지고 있다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내용들을 검찰 수사 단계를 벗어나 국민의 알권리와 국정농단 사태의 교훈을 위해서라도 좀더 진실을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7일 오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린 박근혜 전 대통령.<사진제공=뉴시스>
▲ 7일 오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린 박근혜 전 대통령.<사진제공=뉴시스>

정유라씨가 돌연 입국한 것에 대해선 안 의원은 “하필 인사청문회 정국에 입국했다”며 “최순실의 지시를 받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안 의원은 “정유라는 이제 겨우 22살이다. 이제 불효자가 돼야 한다”며 “자신의 창창한 인생을 위해서라도 엄마 말을 들어서는 안된다,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태 의원은 “정유라의 구속영장 기각은 국제적으로 창피할 수 있다”며 “덴마크 법원이 5개월간 구금하고 범죄인 인도 협약에 따라 한국에 소환까지 했는데 정작 당사국인 한국에서 구속되지 않은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라고 의구심을 보였다. 

김 의원은 “정유라가 모종의 약속을 받고 덴마크 법원에 제기했던 항소심을 철회했던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라며 이해되지 않는다는 국민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판 작전에 대해선 안 의원은 “장시호처럼 구속기간 만료로 나오겠다는 전략”이라며 “모든 혐의로 부인하면서 부르겠다는 증인이 430명이다. 천천히 가자는 것이다. 그래서 10월16일 나오겠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재판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며 “1심 선고가 10월16일 이내에 나도록 해야 사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