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영화 <다이빙벨>…朴정부, 비판 여론전에 표 ‘싹쓸이’까지

서해성 “빼앗긴 영화 속 진짜 내용은 구출되지 못한 아이들이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방해하기 위해 표 ‘싹쓸이’에 영화 상영을 비판하는 여론전까지 조직적으로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이날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30부(부장판사 황병헌)심리로 열린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 강모 전 행정관은 ‘다이빙벨’ 상영 확산을 막기 위한 ‘액션 플랜’을 실행한 뒤 보고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강 전 행정관은 ‘다이빙벨’ 상영관 455석 전 좌석을 모두 구매하고, 영화를 깎아내리는 내용을 언론에 내보낸 뒤 김기춘 실장에게 보고해야 한다는 선임 비서관의 지시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강 전 행정관은 이 같은 지시 내용을 자신의 업무수첩에 기록해뒀다.

▲ <이미지출처=JTBC 보도 영상 캡처>
▲ <이미지출처=JTBC 보도 영상 캡처>

이날 강 전 행정관은 이 같은 작업을 도맡아 한 인물로 허현준 청와대 행정관을 지목했다. 허 행정관은 어버이연합, 엄마부대 등에 친정부 관제데모를 지시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스포츠경향>에 따르면, 특검팀은 강 전 행정관의 수첩을 제시하며 “청와대 정무비서관실에서 영화 관람석을 일괄 매입하고 보수 단체에 폄하 논평을 부탁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모 전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 역시 ‘다이빙벨’ 입장권 매입이나 논평 등은 정무비서관실에서 주도했던 것으로 안다며 “당시 부산 지역 국회의원을 통해 매입했던 것 같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동향 보고에 주로 등장한 보수단체로는 고엽제전우회, 재향군인회, 어버이연합, 엄마부대 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권력, 세월호의 고통과 진실 빼앗으려 한 것”

영화 ‘다이빙벨’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조직적 방해 행태가 사실로 드러나자, 서해성 작가는 SNS를 통해 ‘다이빙벨’ 부산국제영화제 상영 당시 한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두 해 전 부산국제영화제에 가서 다큐 영화 <다이빙벨>이 처음 상영되는 극장에 도착하니 표가 다 팔리고 없다고 했다”며 “이상호 감독과 함께 내심 기뻐하면서 극장 안으로 들어갔더니 정작 객석 상당수 자리가 비어있었다. 영화 상영이 끝날 때까지 끝내 좌석은 차질 않았다”고 되짚었다.

서 작가는 “과거에는 필름을 가위질하더니 이번에는 객석을 빼앗아버렸던 것”이라며 “빼앗긴 영화에 들어있는 진짜 내용은 다이빙벨이 아니라 물에서 구출되지 못한 아이들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권력은 단지 영화를 빼앗고자 한 게 아니라 세월호의 그 고통과 진실을 빼앗고자 했던 것”이라고 성토했다.

서해성 작가는 “엔딩 크레딧에 영화를 빼앗은 이름들을 넣어주는 걸 검토하는 논의를 해봐야겠다”며 “사회적 영상은 이렇듯 늘 영화 밖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을 피하기 어렵다. 독재권력일수록 더욱 그렇다. 일단 <다이빙벨>을 다시 봐야겠다”고 덧붙였다.

‘다이빙벨’을 연출한 이상호 기자는 SNS에 관련 기사를 링크하며 “진실은 절대 침몰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또 다른 글에서는 “다시는 저 야만의 시절로 돌아가지 말자”고 강조하면서 “그나저나, 무료로 드리겠다고 손 내밀어도 공중파 한 곳도 <다이빙벨>을 상영해 주지 않는 현실이 여전히 악몽처럼 느껴지는 건 저 만의 착각이겠지요”라는 심경을 전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