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단체 “대선후보 3인 차별인” 인권위 진정

“홈피, 시각·청각장애인 배려 없어…개선하라”

장애인단체가 지난 13일 서울광화문 광장에서, 대선 후보들에게 수화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 등을 촉구하기 위해 진행하는 1인 시위를 알리기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장애인정보문화누리 홈페이지
장애인단체가 지난 13일 서울광화문 광장에서, 대선 후보들에게 수화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 등을 촉구하기 위해 진행하는 1인 시위를 알리기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장애인정보문화누리 홈페이지

장애인단체가 시각·청각장애인들이 대선후보 홈페이지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며 대선후보 홈페이지 접근 환경을 개선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장애인정보문화누리는 14일 성명을 내고 “장애인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투표 할 권리가 있고, 올바른 투표를 하기 위해 해당 후보가 제시하는 공약이나 활동사항을 올바르게 알 권리도 있다”면서 “장애인의 올바른 참정권 보장을 위해 장벽 없이 홈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개선을 해 줄 것”을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 캠프 측에 촉구했다.

장애인정보문화누리는 10월 말, 대선후보 홈페이지의 정보를 읽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장애인의 민원을 받고, 지난 7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를 차별인으로 진정했다.

장애인정보문화누리 김철환 정책실장은 15일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인권위 진정 이후 후보마다 홈페이지에 게시된 동영상에 자막을 넣는 등 일부 수정을 하긴 했지만 이미지로 처리된 정책 공약에 별도의 텍스트를 달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의 불편은 여전하다”고 토로했다.

특히, “정책제안 코너를 만들었지만 이미지에 별도의 텍스트를 만들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이 제안 자체를 할 수 없었던 경우도 있었다”면서 “이는 장애인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수반되지 않은 탓“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박근혜 후보 측은 15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장애인단체의 요구를 수용해 이미지화된 정책 공약과는 별도로 텍스트화된 정책공약을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후보 측도 “리더기 등 관련 시스템을 정비해 시각·청각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3개의 정식 홈페이지를 시각·청각장애인들이 관련 정보에 접근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극적으로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또한, 안철수 후보 측은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검토 후 대응 하겠다”면서 “장애인단체의 이런 의견들이 있다는 것을 관련부서에 전달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장애인단체는 ‘수화언어 권리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13일부터 수화 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과 농학생 교육환경의 근본적 개선을 위해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 캠프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김철환 정책실장은 이와 관련해 “1차적인 목표는 대선후보들이 수화언어 관련법을 공약으로 채택하는 것이지만, 2차적 목표는 인수위원회의 정책 반영”이라면서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1인 시위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