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朴 퇴임 후에도 수렴청정 욕심에 당이 망가진 것”
‘친박’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은 친박계의 전국위원회 조직적 보이콧 사태와 관련 18일 “첫 회의부터 유승민 빨리 복당하라 이런 얘기를 서슴없이” 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당 내 구성원 중에 유승민 빨리 입당하라고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 거냐, 대부분 반대하고 있는 건데”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반박 인사들 위주로 하고 친유승민계나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를 구성해서 이 사단이 벌어진 것”이라며 “김무성, 유승민 대표는 당내 구성원들로부터 상당히 선거패배의 원인을 제공한 책임자들로 본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총선의 가장 무거운 책임은 김무성 대표나 그를 추종했던 사람들”이라며 “최종적으로 옥새파동까지 일으킨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그런 분들이 거꾸로 다른 사람에게 뒤집어 씌우는 시도들을 끊임없이 해오기 때문에 문제”라며 “먼저 사과하고 잘못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내에다 총질을 하고 당을 흔들고 또 같은 집권 여당인데 정부를 흔들어 대는 일에 감수성 발언을 계속 해대고 그래서 당을 혼란스럽게 하는 인사들이 앞장 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전국위 무산 사태에 대해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17일 페이스북에서 “새누리당 이제 뺄셈정치 그만하고 덧셈 정치 해야지요”라고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김용태 의원도 혁신위원장으로 못 받아들이면 내년 대선 어떻게 이길 수 있나”라며 “과반도 안되고, 1당도 못되는 몇 안되는 국회의원들끼리 친박‧비박 나눌 형편이 되냐”고 지적했다.
또 ‘유승민 복당’ 문제에 대해 김 전 지사는 “뺄셈 공천으로 당을 떠나게 되었지만 우여곡절 끝에 당선된 무소속도 문을 활짝 열고 무조건 덧셈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냐”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상황에 대해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트위터에서 “문제는 대통령이 ‘공당’을 ‘사당’으로 만들어 버린 데에 있다”며 “임기말을 넘어 퇴임 후까지도 당의 실질적 주인으로 수렴청정 하려던 욕심에 당이 망가진 것”이라고 일갈했다.
전우용 역사학자는 정두언 의원의 “새누리당은 독재당, 패거리집단, 동네 양아치도 이러지 않아”란 발언을 지적하며 “같은 ‘조직원’이 이렇게 느낄 정도니 그런 조직의 지배를 받는 일반 국민은 어떻겠냐”고 반문했다. 전 학자는 “조직의 진짜 수준은, 조직원이 느끼는 것보다 대체로 더 낮은 법”이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