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지역 교수·교사들도 ‘집필 거부 선언’ 동참.. “국정화 철회 촉구”
각계 인사 600여명과 3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반대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19일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역사해석의 다양성이 곧 민주주의”라며 “국정교과서는 전체주의의 시작이다. 민주주의를 퇴행시키는 국정 교과서 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시국선언에는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장, 이신호 한국YMCA 이사장, 김신일 전 교육부총리,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소설가 김훈·조정래씨 등 600여명이 참여했다. 시민·사회단체로는 참여연대·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이 함께했다.
이들은 “과거 국정 한국사 교과서는 박정희 유신 독재체제를 미화하고 학생들에게 획일적이고 무비판적인 역사관을 주입하기 위한 도구로 기능하였다”며 “박근혜 정부는 시민사회는 물론 보수언론까지도 반대하였던 국정 교과서 제도를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들어맞는 획일적인 역사해석을 강요하며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반역사적인 시도를 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미 헌법재판소가 1992년 결정문에서 국정교과서 제도가 헌법의 규정에 모순될 수 있고,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한 획일화를 강제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의 기본이념에 모순되거나 역행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그러나 박근혜정부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무시하고, 또한 시민사회와의 소통은 철저히 거부한 채, 국제적으로도 독재국가에서나 통용되는 국정교과서제도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여 민주주의 공론의 장을 훼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왜곡된 역사해석을 선전과 선동을 통해 대중사이에 확산한 독일 나치가 가져온 역사적 폐해로 얼마나 오랫동안 전후 독일사회가 괴롭힘을 당했는가를 보아왔기에, 우리는 박근혜정부의 전체주의적 발상에 전율하고 있다”며 “역사교과서 조차도 이념갈등과 진영논리로 몰아가는 정부여당의 매카시즘을 멈출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연대회의는 ‘국정교과서’라고 적힌 검은 띠로 눈을 가리며 정부의 국정화 강행에 반대한다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한편, 대구·경북지역 교수들과 서강대학교 교수들도 이날 역사 교과서 집필 거부 선언에 동참했다.
대구·경북지역 역사학 전공 교사·교사 40여명은 집필 거부 선언문을 통해 “박근혜 정권은 민주시민들의 목소리와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지나간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하는 비극을 되풀이 하지 말고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과서 국정화가 정권 안보를 위한 정치적 의도로 기획되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며 “선진국들 대다수가 검인정제와 자유발행제를 채택하고 있는 마당에 지난 박정희 정권이 도입한 국정교과서 체제의 망령을 되살리는 역사 왜곡의 터널로 또다시 들어가야 한다는 말인가”라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서강대학교 교수 89명도 성명을 통해 “어떠한 형태의 교과서 관련 작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선언한다”며 “자유로운 학문 연구와 미래세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는 현 사태와 앞으로 발생할 문제들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정화 철회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