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대 한국사 연구단체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

한국역사연구회 “주체사상 플래카드 소동, 이성과 광기의 대립 보여줘”

우리나라 최대 한국사 연구단체인 한국역사연구회도 역사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를 선언했다.

1988년 출범해 역사학자 770여명이 가입한 한국역사연구회는 15일 전·현직 회장과 운영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회는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정부와 여당은 낡아빠진 색깔론으로 국민 선동을 일삼고 역사연구자와 역사교사들을 모독하고 있다”며 “정부 여당이 끝내 국정화를 강행한다면 연구회는 국정 교과서 제작과 관련된 연구 개발, 집필, 수정, 검토를 비롯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정부 여당은 지금이라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역사의 독점과 사유화로 정권의 입맛에 따라 국민의 과거 기억을 통제하려는 국정화 시도는 단지 교과서 편찬제도의 퇴행에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크게 후퇴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새누리당이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다시 회수한 것에 대해서도 “여당의 소동은 21세기 한국사회에서 벌어졌다고는 도저히 상상이 되지 않는 구시대적 작태의 전형”이라며 “이 소동은 국정화를 둘러싼 대립이 이념이나 정치 문제가 아니라 상식과 몰상식, 이성과 광기의 대립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미지제공 = KBS1>
<이미지제공 = KBS1>

연구회는 정부가 국정화를 강행할 경우 ‘대안 한국사 도서’를 개발할 것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들은 “혹시라도 이런 상황이 올 것을 예상하며 연구자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대안 한국사 도서의 개발을 준비해왔다”며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외면한 채 역사 교과서 집필 불참 선언으로 역할을 끝내는 무책임한 처신을 결코 하지 않을 것이고, 대안 한국사 도서의 편찬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한편, 주요 대학 사학과 교수들이 잇따라 집필 거부를 선언하고 있는 가운데 예비 교사들도 성명서를 내고 국정화 결정 철회를 촉구했다.

16일 서울대, 고려대 등 전국 20여개 사범대 학생회와 경인교대, 부산교대 등을 비롯한 전국교육대학생연합, 수도권 사범대학생 네트워크 등은 “민주시민 양성과 교육의 가치를 훼손하는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철회하라”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다양한 한국사교과서의 발행이 학생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교과서가 편향돼 있으며 반(反) 대한민국 사관을 취하고 있다며 ‘하나된’ ‘올바른’ 역사 교과서를 발행하겠다고 한다”며 “그러나 정부의 주장은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합리적·다원적인 시각을 기르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근원으로 하는 역사교육 자체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