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정신대 시민모임, ‘日 전범기업 불매운동’ 호소

온라인 서명‧거리캠페인 병행…“오만한 전범기업 행태 좌시 못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 일본 미쓰비시 기업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재개하기로 했다. 강제징용으로 가장 많은 피해와 고통을 입은 한국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는 미쓰비시의 이중적 태도에 구체적 행동을 나선 것이다.

앞서 미쓰비시는 최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 노역에 동원했던 미국과 중국 등에 사과와 보상을 내세웠다. 그러나 10만여 명에 달하는 강제징용의 피해를 입은 한국에는 ‘법적인 상황이 다르다’며 외면했다.

30일 시민모임은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10만명 징용 전범기업 미쓰비시 불매 10만명 서명 캠페인’에 돌입할 계획을 밝혔다.

이들은 “미쓰비시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 10만 명을 끌고 가 고혈을 짜낸 일본 전범기업 중 제1의 전범기업”이라며 “그러나 우리 대한민국에 대해서는 철저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식민지배 시기 한국인 피해자들은 법적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라고 개탄했다.

<사진제공 = 뉴시스>
<사진제공 = 뉴시스>

이들은 “이렇게도 오만 방자할 수 있다는 말인가”라며 “징용으로 끌려간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조선인이 아니라 일본국민으로서 동원된 것이기 때문에 사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인데 참으로 어처구니없다”고 꼬집었다.

시민모임은 “식민지 침략이 합법이므로 징용 역시 당연하다는 해괴망측한 궤변은 우리 국민을 또 한번 모욕을 주는 것이자 상처 입은 피해자들의 가슴을 다시 할퀴는 것”이라며 “이것이 일본과 전범기업 미쓰비시의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쓰비시는 강제 징용 피해 당사자인 모든 분들에게 진정어린 사죄와 참회를 해야 하고, 그에 따른 배상을 할 것을 촉구한다”며 “그것만이 전범기업이 대한민국 국민과 강제징용 피해자들과의 간격을 조금이나마 좁힐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는 사죄와 배상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피해자들이 보란 듯이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오만한 전범기업의 행태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라며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미쓰비시 그룹 모든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모임에 따르면, 온라인 서명과 거리캠페인이 병행될 불매운동은 올해 12월까지 10만명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제품 특성상 소비자 선택이 제한적이기에 품목 중심으로 주력해 갈 계획이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의 불매운동 목록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의 불매운동 목록

한편, 시민모임 이국언 상임대표는 28일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의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 상임대표는 “우리 정부가 이 문제를 문제 삼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본다”며 “미쓰비시가 어떤 논리나 규범 하에서 사과 행보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전형적으로 힘 있는 상대에게는 머리를 숙이고 약하다고 생각하는 데에는 철저히 멸시하고 무시하고 있다”며 “이런 노골적인 찬밥 대우를 하도록 놔둬서는 안 된다. 한국 피해자들에게는 전혀 윤리적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상임대표는 “중국, 일본, 사할린 멀리 가서 갖은 노역을 하신 분들은 현재 2만 8천명 정도만 살아계신다”며 “히로시마로 징용돼 원폭 피해를 입으신 분들의 재판이 대법원에서 계류되며 길어지고, 결국 원고 5명이 돌아가셨다. 안타까운 상황이 지금 현재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