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위 예산 반토막 삭감에 비난 여론 ‘확산’
영화진흥위원회의 부산국제영화제 국고지원금 반토막 삭감 사태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영화인·시민단체를 넘어 대학 교수들까지 점점 거세지는 모양새다.
20일 부산대학교, 경성대학교 등 15개 대학 교수 529명은 지원금 삭감 철회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영진위를 규탄하고 나섰다. 앞서 문화예술인과 영화인, 시민단체도 반토막 지원금 삭감에 대해 성명을 발표하는 등 비판한 바 있다.
교수들은 성명을 통해 “BIFF 예산 삭감은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를 한 순간에 무너뜨리는 충격적인 소식”이라며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제가 될 수 있도록 더궁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한국 문화 융성을 위한 바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영진위 측은 지원금 삭감 이유에 대해 ‘명실공히 글로벌 국제영화제로 위상을 점유하고 있어 자생력을 강화해야한다는 다수 의견’에 따라 감액했다고 설명했다.
교수들은 “다른 지역 영화제를 키우기 위해 BIFF 예산을 감액했다는 것은 특성화와 다양성을 핵심가치로 삼고 있는 상식적인 지역문화진흥 정책에도 상반되는 것”이라며 “예산 삭감의 그저에는 올해 초 BIFF 이용관 위원장 사퇴 압력에서부터 시작된 일련의 사건들이 배후에 작동하고 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문화예술의 자율성과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고 정치적 보복이라 할 수 있는 행위들이 계속된다면 이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는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부산시도 이러한 일련의 사태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교수들은 성명서 말미에 ▲BIFF 지원 예산 복원 및 회의결정 내용 공개 ▲지역 영화제를 발전시킬 정부의 문화정책 공개 ▲부산시의 예산확보방안 노력 공개 등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시민단체·영화인들의 비판에 이어 교수들까지 영진위를 규탄 목소리를 높인 것과 관련, 영진위는 ‘go발뉴스’에 “현 상황에서 특별히 더 밝힐 입장이 없다. 기존에 계속 밝혀오던 입장과 같다”며 “부산국제영화제 측에서 질의해 온 답변과 심사의 총평 등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영진위는 홈페이지의 질의답변서를 통해 “국제영화제는 국가, 지역마다 역사에 따라 예산구조나 규모면에서 차이가 크다. 우리 위원회는 이번 심사에서 대표영화제에 집중 지원을 하기보다 도약하려는 영화제 육성에 집중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었다”고 지원 삭감 이유를 밝혔다.
또한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다이빙벨> 상영으로 인한 정치적 보복’이라는 의혹에 대해서는 “예비심사와 위원회 결정심사 과정에서 <다이빙벨>과 관련한 언급이나 문제가 제기된 바는 전혀 없다”며 “국제영화제로 도약하려는 영화제들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것이 사업 취지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여 내린 심사 결과”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