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 보이콧 경고.. “자유 사라진 부산영화제 지지하지 않을 것”
부산시가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에게 사퇴를 종용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TV리포트>에 따르면 23일 부산시 고위 관계자는 감사 결과가 좋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이 위원장에게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위원장은 “(관계자들이) 조용하게 물러나라고 해서 나도 그렇게 하고 싶으나 지금은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왜 사표를 내야 하는지 모르겠다. 사표를 절대 못 낸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달 부산시는 영화제 조직위에 대한 감사를 실시한 뒤 집행위원장 교체 등 여러 후속 조치를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부산시는 이 위원장에게 사퇴를 권고하지는 않았다며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
부산시 김광회 문화관광국장은 부산 지역 방송 <KNN>에 “(영화제) 20주년을 맞아서 생산적 영화제로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전이나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에 대한 대안 제시를 (이 위원장에게)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부산시의 사퇴 종용은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논란이 됐던 세월호와 다이빙벨의 진실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상영 강행이 직접적 이유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TV리포트>에 “이런 명분 없는 사퇴 권고는 ‘다이빙벨’을 상영한 것에 대한 부산시의 보복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부산영화제를 이만큼 키운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적법한 이유 없이 해임하는 건 말도 안 된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이건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라며 “만약 사퇴를 강행한다면 부산영화제가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울 것이다. 영화계는 자유가 사라진 부산영화제를 더 이상 지지하지 않을 것이며 심각하게는 보이콧까지 감행될 전망”이라고 우려했다.
앞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은 지난 제19회 부산영화제에서 와이드 앵글-다큐멘터리 쇼케이스 부문에 초청됐지만 서병수 부산시장이 ‘정치적’이라는 이유로 상영을 반대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창작의 자유를 주장하며 상영을 강행했다.
이번 사퇴 종용이 서병수 부산시장의 반대에도 상영을 진행한 이 위원장에 대한 보복성 인사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한편 이용관 위원장은 1996년 부산영화제 출범 당시 수석프로그래머로 시작해 부집행위원장, 공동집행위원장을 거치며 지난 2010년 집행위원장에 올랐다. 그 과정에서 이 위원장은 부산영화제를 국내 최고 문화축제이자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로 성장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