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인적쇄신 회의적.. “대통령 바뀌지 않는 한 의미 없다”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가 ‘수첩 파동’에서 불거진 ‘K(김무성), Y(유승민) 배후설’ 논란에 대해 “현재 청와대의 민낯을 다 보여준 것”이라고 힐난했다.
16일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을 지낸 이 교수는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음종환 전 행정관을 겨냥, “청와대가 어떤 사람들에 의해 실제로 굴러가는지를 잘 보여준 것”이라며 “그 사람들의 관심사나 국정 철학은 국가 정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동향 등 정치공학적인 것에 있고, 이런 사람들에 의해 우리나라가 굴러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수석비서관들은 그냥 앉아 있는 일종의 장식물이고 실제로 청와대를 움직이는 것은 이른바 십상시라고 언론에서 거론하고 있는 보좌관 출신들이 아닌가 하는 것”이라며 “그 보좌관이라는 사람들의 수준이 이번 사건으로 만천하에 공개가 됐다”고 꼬집었다.
그는 청와대를 향한 인적쇄신론에 대해서도 “단순히 조직개편만으로 변화가 온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인적쇄신 문제도 이른바 문고리 권력이라는 3명의 비서관을 교체하지 않는 한 전혀 의미가 없다고 본다. 대통령이 바뀌지 않는 한 의미가 없고 대통령이 변화된 모습을 보일지 회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음 행정관이 이준석 전 비대위원에게 ‘상종 못할 인사’라고 자신을 비난한 데 대해서도 “아마 실제로 오고 간 이야기는 지금 보다 더 적나라한 표현을 썼을 것”이라며 “거기에 대해서 저는 특별하게 할 말이 없고 개의치도 않고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나이도 한참 어린 일개 행정관이 검찰 수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집권당 대표를 배후로 몰아치고 그런 여론을 조성하며 진실이라고 말하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고 사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한편, 이 교수는 새누리당 내부의 계파 갈등에 대해서는 “이게 수습되기 어렵다고 본다”며 “수면 하에 들어갔다가 어떤 계기가 있으면 또 폭발하고 그렇게 가다가 어느 임계점을 지나게 되면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본다. 금년 중으로 여든 야든 변혁이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