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靑, 보이지 않는 손 작동? 상황 더 복잡하게 몰아 가”
보수언론이 故 최경락 경위의 자살과 관련,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비판하며 특별검사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질타했다.
15일 <조선일보>는 「갈수록 꼬이는 청 문건 파문, 인사 쇄신 서둘러 해답 찾아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대통령 주변의 권력 암투설에 휘말린 핵심 인물 대부분이 검찰에 불려 나온 셈이다”라며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은 14일 일제히 특별검사 임명을 요구했다. 검찰 수사를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이라고 전했다.
<조선>은 “문제는 이 같은 야당의 주장을 반박하기 어려운 상황을 대통령과 정부·여당이 만들어왔다는 점”이라며 “‘정윤회 문건은 허구’라는 대통령과 여당의 논리가 국민 다수의 공감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법원이 최 경위에 대한 영장을 기각하고, 검찰 재소환을 앞둔 최 경위가 ‘억울하다’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는 일까지 겹쳤다”며 “문건의 실체적 진실과 무관하게 이 사건을 계속 끌고 가려는 정치적 동력이 한층 강화됐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특검이 불가피 함을 지적했다.
<중앙>도 「이러니 짜맞추기 수사 소리 듣는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검찰의 수사를 질타했다.
신문은 “최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남긴 ‘민정비서관실의 제의’가 무엇이었는지 밝혀지지 않고선 짜맞추기 수사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며 “청와대 역시 ‘접촉도 제안도 없었다’고만 할 일이 아니라 입맞추기 의혹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만큼 진실을 규명하는 데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중앙>은 청와대를 겨냥, “그렇지 않아도 문건 유출사건에 청와대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마당”이라며 “사건의 당사자이자 수사 대상이기도 한 청와대가 수시로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어 혼란스러운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몰아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동아>도 사설을 통해 검찰이 이재만 총무비서관을 비공개 소환한 것을 두고 ‘특별대우’라며 검찰의 권력 눈치 보기를 비판했다.
<동아>는 “서울중앙지검은 어제 ‘문고리 3인방’ 중 한 명인 이재만 대통령총무비서관을 고소인 자격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그는 사전 조율을 통해 취재진이 기다리는 포토라인에 서지 않고 검찰 청사로 들어갔다. 검찰이 특별히 신경을 써준 덕분”이라며 “이런 대우는 청와대의 가이드라인대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세간의 의혹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검찰 수사는 정윤회 문건의 내용이 허위라는 쪽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검찰은 더이상은 일을 키울 생각이 없는 듯하다”며 “이런 식으로 가면 검찰의 수사 결과에 불신을 초래해 국정조사와 특별검사를 부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