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해공작” 이메일 공개…SPC그룹 “억측, 대응 가치 없어”
대한제과협회가 SPC그룹이 제과점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해 “협회의 활동을 방해하는 등 불공정 행위를 했다”며 13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 이에 SPC그룹은 “자의적으로 해석한 억측에 불과해 대응할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반박해 갈등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제과협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주)파리크라상 대표이사를 공정위에 공정거래법과 가맹사업거래법 위반 혐의로 제소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주)파리크라상이 가맹점주들을 동원해 시위와 민사소송 제기 등 치졸한 방해공작과 회유작업을 펼쳤다” 며 “파리크라상이 가맹점에 대해 갖고 있는 우월적 지위와 시장지배적 지위를 이용해 다른 사업자들에게 불이익을 가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또 파리크라상이 협회비 반환 소장과 회유내용을 담은 이메일 문서를 공개하며 “파리크라상의 방해공작은 대기업 프랜차이즈의 공격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며 “프랜차이즈 본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필요성을 강력히 입증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SPC그룹은 “가맹점주 비상대책위원회는 생존권에 위협을 느낀 가맹점주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해 활동했다”며 “대한제과협회의 자료는 자의적 해석으로 억측에 불과해 대응할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계속해서 갈등을 조장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하며 제과점 전체의 이익과 전혀 무관한 내용이다”며 유감을 표했다.
파리바게트 가맹점주로 구성된 프랜차이즈자영업자생존권보장비상대책위원회 강성모 위원장은 ‘go발뉴스’에 “기자회견에서 대한제과협회가 제시한 문자 메시지에는 보낸 이가 누군지 밝히지 않고 있다”며 “내용의 앞뒤가 맞지 않아 조작의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당시 제과협회 가입비를 비대위가 직접 사측에서 타 냈다”며 “제과협회 정상화 방안에 동참하고, 함께 상생하자는 의미로 사측을 설득해 어렵게 가입비를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제과협회는 오히려 가입을 하러 가도 제대로 받아주지 않았고 오히려 우리가 들어오면 협회를 좌지우지 할 것 아니냐고 내키지 않아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국 슈퍼마켓 관련 단체인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도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해 SPC그룹 계열인 삼립식품, 샤니 등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불매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