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기술 원전비리 3인, 사직 9개월만에 ‘재취업’

전순옥 “사회적 약속 헌신짝처럼 버린 비도덕적 인사 단행” 임명 철회 촉구

지난해 원자력발전소 부품 시험 성적서 위조 사건의 책임을 지고 사직한 한국전력기술(이하 한전기술)임원 3명이 1년도 안 돼 해당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리척결’을 다짐했던 한전기술의 약속이 국민을 기만한 행위었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따르면 지난 1월 면직 처리된 김모 전 경영관리본부장과 윤모 전 원자력본부장은 사직 9개월만인 지난 17일 한전기술의 상근위촉사무역으로 임명됐다.

김 전 본부장은 홍보실에서, 윤 전 본부장은 원자력사업처에서 각각 근무하게 됐다. 상근위촉직은 1년 단위로 근로계약 갱신이 가능하고, 연봉은 5000만~6000만원 수준이다. 이들과 함께 면직된 이모 전 플랜트본부장은 사직 2개월만인 지난 3월 상근위촉직으로 재취업했다.

2013년 6월 20일 한국전력기술의 원전비리 관련 대국민 사과 및 비리척결 반부패 청렴실천 결의대회. (사진제공=한국전력기술)
2013년 6월 20일 한국전력기술의 원전비리 관련 대국민 사과 및 비리척결 반부패 청렴실천 결의대회. (사진제공=한국전력기술)
지난해 6월 한전기술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원전시험성적서 위조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1급 이상 직원 264명(한전기술 69명·한수원 177명)이 사표를 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4개월 뒤 열린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들의 사직서는 단 한 장도 수리되지 않았고 도리어 급여로 93억원을 챙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올해 1월 한수원 임원 2명이 사직했지만 한전에서는 물러나는 임원이 없었다. 이러한 사실이 보도되자 한전기술은 뒤늦게 본부장 3명을 면직 처리했다. 지난해 이들은 연봉 1억7900만원씩 받았다.

전 의원은 “이번 인사 물의를 일으킨 주인공들은 1980년대 초반에 입사해 30여 년 안정적인 일자리와 연봉 1억8000만원의 호사를 누리고도 다시 전관예우를 받고자 했다”며 “한전기술 사장은 원전비리 척결이라는 사회적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린, 비도덕적 인사를 단행한 것”이라며 임명 철회를 촉구했다.

전 의원은 “불량 부품 납품과 시험성적서 위조 등 원전 비리의 주범이 원전 마피아임이 드러났고, 이에 대한 반성으로 책임 사직한 한전기술의 상임이사들이 9개월만에 도로 한전기술에 재취업한 것은 국민 기만”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한전기술 관계자는 “상임이사로 재직했던 3명을 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무를 맡긴 것이지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건 아니다”며 “3명 모두 오랜 업무 경험을 활용하기 위해 위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