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순옥 “사회적 약속 헌신짝처럼 버린 비도덕적 인사 단행” 임명 철회 촉구
지난해 원자력발전소 부품 시험 성적서 위조 사건의 책임을 지고 사직한 한국전력기술(이하 한전기술)임원 3명이 1년도 안 돼 해당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리척결’을 다짐했던 한전기술의 약속이 국민을 기만한 행위었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따르면 지난 1월 면직 처리된 김모 전 경영관리본부장과 윤모 전 원자력본부장은 사직 9개월만인 지난 17일 한전기술의 상근위촉사무역으로 임명됐다.
김 전 본부장은 홍보실에서, 윤 전 본부장은 원자력사업처에서 각각 근무하게 됐다. 상근위촉직은 1년 단위로 근로계약 갱신이 가능하고, 연봉은 5000만~6000만원 수준이다. 이들과 함께 면직된 이모 전 플랜트본부장은 사직 2개월만인 지난 3월 상근위촉직으로 재취업했다.
이후 올해 1월 한수원 임원 2명이 사직했지만 한전에서는 물러나는 임원이 없었다. 이러한 사실이 보도되자 한전기술은 뒤늦게 본부장 3명을 면직 처리했다. 지난해 이들은 연봉 1억7900만원씩 받았다.
전 의원은 “이번 인사 물의를 일으킨 주인공들은 1980년대 초반에 입사해 30여 년 안정적인 일자리와 연봉 1억8000만원의 호사를 누리고도 다시 전관예우를 받고자 했다”며 “한전기술 사장은 원전비리 척결이라는 사회적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린, 비도덕적 인사를 단행한 것”이라며 임명 철회를 촉구했다.
전 의원은 “불량 부품 납품과 시험성적서 위조 등 원전 비리의 주범이 원전 마피아임이 드러났고, 이에 대한 반성으로 책임 사직한 한전기술의 상임이사들이 9개월만에 도로 한전기술에 재취업한 것은 국민 기만”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한전기술 관계자는 “상임이사로 재직했던 3명을 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무를 맡긴 것이지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건 아니다”며 “3명 모두 오랜 업무 경험을 활용하기 위해 위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