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직원-상사간 통화내용 공개.. 성추행 인지코도 ‘조용히 나가라’ 종용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는 중소기업중앙회 계약직 여직원 자살 사건과 관련해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의 직접적인 해명과 사과를 촉구했다.
심 원내대표는 7일 성명을 통해 “우리 사회의 가장 약자 중 약자의 처지를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자살은 이 문제가 단순히 개인사정이나 집안문제로 치부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중앙기업중앙회측이 여직원의 자살이유로 불우한 가정환경 등을 거론한 데 대해 “중소기업중앙회는 비정규직 여성의 죽음에 대해 유감이나 위로는커녕 책임 없다는 식의 태도로 책임회피를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중소기업중앙회의 해명은 분명히 사실이 아니다. 유가족으로부터 입수한 유세와 이메일 내용, 그리고 통화기록 모두를 확인해 본 결과, 자살에 이른 경위에는 어느 한 부분도 경제적 곤란이나 불우한 가정환경을 암시하는 대목은 없었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계약만료에 따라 직장을 그만두려고 했던 고인을 붙잡아 두었던 것이 바로 중소기업중앙회이며, 이에 대해서는 직속상사 및 전무 등과의 통화 내용에 그대로 담겨있다”며 자살한 여직원과 상사들간의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통화기록에 따르면, A 전무는 정규직 전환이 안 된 여직원에게 “ㄱ씨 입장에서는 (정규직 전환을 시켜주겠다는) 그런 얘기를 100% 믿었다, 믿을 수밖에 없다는 상황일지 몰라도 우리 인사(위원회) 입장에서는 그걸 100%를 받아들이고 그런 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여직원은 “그러면 지난 번 제가 나갈 때 다들 그냥 뒀으면 모르겠는데 다들 그렇게까지 잡았다. 저는 지금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상받아야 되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직속상사와의 통화 내용에서는 성추행·성희롱 사건과 관련해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을 나타냈다. B 부장은 “나도 많이 놀랬다. 내용에 대해서는. 물론 일부는 알고 있었던 것도 있었고 알아도 모른 척 했던 것도 있었지만 그 절반 이상이 내가 처음 들어본 얘기라서. 내 문제도 그렇고. 내 말이 상처가 됐다는 게 처음 알았다”고 말했다. C 차장은 문제가 커질 조짐을 보이자 여직원에게 “좋게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겠나”며 조용히 나갈 것을 종용하기도 했다.
심 원내대표는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 다양한 원인이 있다면 유서, 이메일 등에서 확인되는 성희롱, 성추행, 그리고 지속적인 스토킹을 한 당사자까지 명백하게 조사해야 한다”며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서도 걱정하지 말라는 등 통보를 받았으나 결국 회사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아울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의 자살의 가장 큰 책임은 중소기업중앙회에 있다”며 “이에 대한 책임 있는 해명과 사과가 전제되어야 한다. 만약 필요하다면 이 사건에 대해 한 점 의혹 없는 조사를 위해 국정감사 기간 동안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을 증인으로 신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