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수율이 저조한 5만원권의 지하경제 유입 가능성에 대한 대책으로 중앙은행이 2만원권 발행을 신중하게 검토하기로 해 주목을 끌고 있다.
7일 <헤럴드경제>에 따르면, 서울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이 ‘5만원권 도입에 따른 지하경제 조장 우려에 대한 대책’에 대해 묻자 한국은행 측은 “5만원권 도입의 편익 및 비용을 점검하고, 중장기적으로 화폐 액면체계의 합리화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액면체계 합리화에 대해 한은 발권국 관계자는 “화폐단위를 하향조정하는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을 말하는 게 아니라 현 ‘1ㆍ5체계’에서 ‘1ㆍ2ㆍ5 체계’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면서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화폐 액면은 1950년 최초 한국은행권(1000환과 100환)이 발행된 이후 ‘1ㆍ5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주화 10원, 50원, 100원, 500원과 은행권인 1000원, 5000원, 1만원, 5만원권이 발행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1ㆍ2ㆍ5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헤럴드경제>는 앞으로 우리나라 화폐의 액면체계가 변경되면 2000원권, 2만원권이 탄생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같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대통령 공약대로 지하경제 활성화가 되고 있네요”(7푼*****), “원래 5만원권 지하경제 활성화하려고 만든거 다 아는데?”(무조건**), “다음 정권에는 화폐개혁 한번 하자. 그러면 지하에 숨은 5만원권 다 나온다. 이 정권은 지하경제 활성화를 공약하더니 진짜 공약 지키네”(새옹**), “5만원 폐지할 생각은 안하고 돈을 더 찍어낼 생각을 하고 있으니..”(바람***), “비자금 조성 위해 나라 거덜 내려고 하는구나”(레*), “화폐 개혁 한번 해라. 다 튀어나오게 되어 잇다”(남**), “그렇게 반대해도 5만원권 발행하더니..”(다**) 등의 조롱 섞인 반응들이 잇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