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통합사회’ 국정화 검토 논란.. “거꾸로 가는 교육”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18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형 공통과목인 ‘통합사회’ 교과서를 교육부가 국정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24일 교육부는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주요 내용을 발표하면서 첫 통합사회·통합과학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한 뒤 차기 교육과정으로부터 검정으로 가는 방안을 언급했다.

이에 야당과 교육계는 “한국사 국정화를 추진하기 위한 꼼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통합사회·과학을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큰 데다, 이 과목들을 국정화 한 뒤 한국사도 국정화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한겨레>와 <한국일보> 등 언론들도 사설을 통해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한겨레>는 “‘국정’이라는 이름 아래 획일화의 틀에 가두려 한다면 시대를 1970년대로 되돌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국정교과서로 배우는 학교 수업은 그저 주입식·암기식 교육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2017년 수능시험에서 필수과목으로 전환되는 한국사를 국정교과서로 전환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며 “이런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또 다른 근거는 교과서 국정체제가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는 후진적이고 전근대적인 발상이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전환 이유로 제시한 융합형 인재 양성과 모순되는 데다 박근혜 정부가 역점을 두는 ‘창조경제’ 개념과도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며 “정부는 정권 마음대로 교과서와 국가교육과정을 바꿀 수 있다는 사고부터 버려야 한다”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 세월호 NYT 광고 진행팀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도 “대한민국 정부가 아니라 조선총독부를 보는 거 같군”(Luc**), “왜 이리 쓸데없는 짓을 할까? 정부가 할 일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임”(jesy***), “이제 ‘유신’은 구국의 결단이 되는건가?”(비개인**), “내가 사는 이곳이 대한민국인지 북한인지 가끔 헷갈린다니까. 독재국가나 하는 걸 하려는 이유가 뭘까?”(악*) 등의 비난 반응들을 보였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