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제외 전 지역서 부정평가 급증.. ‘서민증세’ 역풍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도에서 부정평가가 7주 만에 다시 긍정평가를 앞질렀다. 서민증세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 대한 역풍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19일 발표한 정례주간여론조사에서 16~18일 사흘간 전국 성인 1002명에게 박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44%, ‘잘못하고 있다’고 대답한 사람이 47%로 조사됐다.
긍정평가의 이유로는 ‘주관/소신있다. 여론에 끌려가지 않음’이 2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열심히 한다/노력한다’가 17%로 뒤를 이었다. 반면 부정평가 이유는 ‘소통 미흡’ 20%, ‘세월호 수습 미흡’ 18%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별로 보면 서민 증세에 대한 민심이반이 심상치 않음을 알 수 있다. 지역별 지지도를 보면 영남권을 제외한 나머지 전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질렀다.
서울은 ‘부정 55%, 긍정 38%’로 부정평가가 크게 높았고, 인천/경기도 역시 ‘부정 47%, 긍정 45%’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질렀다.
박 대통령의 핵심 지지기반인 대구/경북은 ‘긍정 62%, 부정 31%’, 부산/울산/경남 ‘긍정 52%, 부정 40%’로 긍정평가가 높았다.
이처럼 부정평가가 급증한 이유는 서민증세 등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은 “이번 주 직무 부정 평가 이유에서 두드러진 점은 ‘공약 실천 미흡/공약 변경’(9월 1주 3% → 3주 9%)과 ‘세제개편/증세'(0% → 5%) 응답의 증가”라며 “여기에는 추석 이후 정부가 발표한 각종 정책 관련 논란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즉 담뱃세 인상안에 자동차세·주민세 문제까지 더해져 ‘서민 증세’라는 지적이 적지 않은 데다 쌀 시장 개방(쌀 관세화)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정당지지도는 새누리당 43%, 새정치민주연합 20%으로 여전히 새누리당이 새정치연합을 2배 이상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표본을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6%(총 통화 6,400명 중 1,002명 응답 완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