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유가족 방문.. “정부 대처능력, 리더십 재평가 요인”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석을 이틀 앞둔 지난 6일 오후 세월호 유가족들이 노숙 농성을 벌이고 있는 청운동을 방문했다.
이날 박 시장은 수사권과 기소권이 보장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추석 명절을 길 위에서 맞는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유가족들과 가진 짧은 면담 자리에서 박 시장은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나 국가가 당면한 모든 문제가 다 농축되어 있는 것”이라 진단하며 “세월호 문제를 잘 풀면 국가개조, 대한민국이 다 바뀌게 돼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가 이만큼이나 경제성장을 이룩했는데 실제로 저 바닥에서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다 보여준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모든 것이 다 밝혀져 하나의 대안이 만들어지고 이렇게 되는 게 세월호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가족들이 원하는 진상규명이 누구 책임자를 찾아내는 것만이 아니라 사고 전 과정에서 우리 사회 시스템이 어떻게 붕괴돼 있었는지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하며 유가족들의 입장을 지지했다.
박 시장은 또 “추석이 낼 모레인데 저는 진짜 대통령께서 오늘이나 낼 모레쯤에 여기 오셔서 가족들을 다 감싸고, 끌어안고 ‘잘못했다. 원하는 특별법 다 만들겠다’ 그러면 다 끝날 것”이라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특별법을 두고 정쟁으로 치닫고 있는 정치권을 향해서도 “(세월호 참사가) 사회적 통합이 아주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었는데 지금은 갈수록 점점 갈등의 진원지가 돼가고 있다”며 “이는 세월호 문제를 정치적 입장에서 바라보기 때문”이라고 박 시장은 지적했다.
이어 “문제해결의 주체가 가족들이 될 수 없다. 가족들은 희생자로 위로받아야 하는 사람들”이라며 “유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정부와 국회와 사회의 문제다. 결국은 정치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분열과 갈등으로 몰아가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박 시장은 지난 5월 2일 발생했던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를 언급하며 “(당시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에서 일어난 사고는 무조건 서울시장 책임이다. 하물며 지하철은 서울시 관할에 있는 공기업이고 여기에서 일어난 것은 서울시장 책임이라 했다”며 “사고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그것을 수습하는 자세나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월호는 큰 사고다. 사고는 다른 나라에서도 벌어진다. 하지만 정부나 국회가 어떻게 해결 하느냐에 따라서 오히려 국가 발전의 또 다른 기초가 될 수 도 있고 리더십을 새롭게 평가 받을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세월호 특별법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는 유가족들의 요청에 대해 박 시장은 “서울시장이 직접 나서기는 쉽지 않다”면서 “비 오는 날 비는 안 새는지, 전기는 쓰실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처럼 광화문 광장 등에서 여러분이 편안하게 계실 수 있도록 해드리는 것 밖에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서울시에서 있었던 세월호 관련 자료들을 남겨서 진도나 안산에 기념관을 만들면 전해주고 아니면 서울에 작은 기념관을 만들겠다고 했다”며 “제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