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일본과 공유하자는 내용 담겨.. 2006년 문체부 ‘교양도서’ 지정
‘위안부’ 피해자들을 일본군 협력자로 매도했다는 비판을 받은 ‘제국의 위안부’ 저자인 박유하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교수의 또 다른 저서 ‘화해를 위해서’가 2006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우수교양 도서로 지정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 <한국일보>는 박 교수의 저서 ‘화해를 위해서’가 자기실현을 위해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길 원한 조선인 징용자가 있고 독도를 일본과 공유하자는 내용이 담겨있다면서 이같은 논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화해를 위해서’는 2005년 발간된 도서로, 위안부·야스쿠니 신사·독도·일본 우익 교과서 등 네 가지 현안을 다루고 있다.
<한국>은 저자인 박 교수가 “한일 양측의 주장이 지닌 문제점을 비판하고 화해를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고 주장했지만, 저서의 내용 일부는 일본의 주장을 그래도 옳긴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문체부의 우수교양 도서로 이 책이 지정되며 ‘화해를 위해서’는 국가 예산으로 학교, 복지 시설 등에 배포됐다.
앞서 ‘위안부’를 ‘매춘부’, ‘일본군의 협력자’로 매도했다는 이유로 피해 할머니들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저서 ‘제국의 위안부’도 이 책을 모티브로 삼고 있다.
박 교수는 이 책의 일본어 번역본으로 2007년 일본 <아사히신문>이 제정한 오사라기 지로 논단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한 바 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소송을 돕고 있는 박선아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 책이 ‘제국의 위안부’ 보다 추상적이기는 해도 우수교양도서로는 선정될 수 없는 책”이라며 “보고서를 만들어 제출하는 등 선정 취소를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반발이 거세자 문체부의 한 관계자는 “책 선정 작업은 매년 위촉되는 선정위원들에게 전적으로 맡기고 있으며 정부는 개입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고 책임을 회피했다.
당시 선정위원으로 참여했던 교수들은 한결같이 “책도 저자도 기억이 안 난다. 한정된 시간에 수많은 책을 봐야 해서 내용까지 확인할 여유가 없었다”고 말해 선정과정 자체가 졸속으로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