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제자 논문 ‘가로채기’ 8편 연구부정행위 되풀이

논문 가로채기에 연구비까지?.. 네티즌 “퇴출 대상자가 장관 후보?”

김명수(66)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논문을 자신의 연구 성과로 꾸며 연구비를 타내는 등 연구부정행위를 되풀이해온 정황이 잇따라 드러나며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19일 <한겨레>에 따르면, 김 후보자가 한국교원대 교수 시절인 2000년 이후 제자의 학위논문을 자신이 제1 또는 제2저자라며 학술지에 실은 게 현재까지 드러난 것만 8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김 후보자가 연구비까지 챙긴 논문은 3건에 달한다.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한겨레>와 유기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이 공동조사한 결과, 김 후보자는 2004년 12월 ‘교육 바우처의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를 교원대 학술지 <교육과학연구>에 자신을 제1저자로, 제자 장모씨를 제2저자로 표시해 실었다.

해당 논문은 그해 2월 장씨가 교원대에 제출한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김 후보자는 2001년 7월에도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줄여 같은 학술지에 실었다.

김 후보자는 2008년에도 나모씨의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교사 근무성적 평정에 있어서 다면평가 도입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이란 논문을 교내 학술지에 싣고, 학술연구비 270만원을 지원받았다.

그는 2011, 2012년에도 제자의 석사·박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논문을 교내 학술지에 자신을 제1저자로 발표하고 교원대 산학협력단에서 1편당 500만원씩 모두 1000만원을 학술연구비로 받았다. 교원대 관계자는 “연구비는 전임교원한테만 지원된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김 후보자는 다른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작성한 또 다른 논문 3편과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베낀 논문 1편을 한국연구재단의 ‘한국 연구업적 통합 정보’(KRI)에 자신의 단독 연구 논문이라며 등재했다. 이같은 논문은 대학 정보공시에 전임교원의 단독 연구 실적으로 반영, 대학·교수 평가 지표로 활용됐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제자 학위논문을 공동 명의로 발표한 것은 관행이었고, 제자의 동의를 얻어 문제없다’는 취지로 해명하고 있다.

김 후보자의 연구윤리 위반 행위가 자꾸만 불거지며 논란을 빚자 네티즌들은 비난 또한 거세게 일고 있다. 한 네티즌(nic**)은 “교육현장서 영구퇴출 될 사람이 장관한다고 하니..”라고 한탄했고, 또 다른 네티즌(운**)은 “일부러 정부에서 이런 사람 추천하나봐. 국민들 스트레스 받으라고”라며 비꼬았다.

이 밖에도 “악취가 난다. 보고 배우라고 하는 것인지”(dbals******), “연구비 횡령에 논문 도둑질까지. 기가 막히는 나라다”(호로관***), “교육계의 실상인가? 선량한 교육계인사들 왜 말이 없나요? 다들 같은 부류?”(j*), “헐 어떻게 아직도 살아남았지. 대학 논문 검증위원회 같은건 없나?”(n**) 등 비난이 빗발쳤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