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등’ 막으려는 군.. 뿌리 깊은 남성중심주의 탓?
최근 수석졸업을 차지한 여자 생도에게 대통령상 주지 않고 차석인 남자 생도에게 주려다 ‘성차별’ 논란을 일으킨 공군사관학교에 이어 육군사관학교에서도 성적산정 방식을 여생도에 불리하게 바꾸기로 해 군의 뿌리 깊은 남성중심주의가 수면위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여생도가 2년 연속 수석을 차지한 이후 나온 조치라 비판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23일 육군사관학교는 올해부터 재학생들의 성적산정 방식을 일반학 비중을 낮추고 군사적 능력, 신체적 능력, 훈육 영역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바꿨다. 남생도들에 비해 여생도들이 불리한 체력 분야의 평가 비중을 높인 것이다.
육사는 그 동안 기존은 일반학 146학점 등 모두 196학점의 성적을 단순 합산하는 ‘학점제’ 방식으로 성적을 산정했다. 백분위 비율로 보면 일반학 73%, 군사역량 14%, 신체역량 3%다.
하지만 이번에 육사가 변경한 성적산출 방식은 백분위 비율로 따져 각 분야별로 가중치를 변경한 것으로, 지적 능력, 군사적 능력, 신체적 능력, 훈육 영역별로 5대3대2대2의 가중치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백분위로 보면 지적능력(일반학) 비중은 기존 73%에서 42%로 낮아졌지만 군사학·군사능력은 12%→25%, 체육은 3%→17%, 훈육은 10%→17%로 각각 성적 반영 비중이 높아졌다.
육사의 성적 산출 변경으로 졸업을 앞둔 여생도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여생도들은 4년 동안 기존 평가기준에 따라 성적을 관리해 온 것이 수포로 돌아갔다며 강하게 불만을 제기하자 이에 부담을 느낀 육사는 내년 졸업자부터 적용하기로 한 발 물러섰다.
육사 관계자는 “올해 졸업생부터 개선된 성적산정 방식을 바로 적용하는 것은 2013년 이전 성적까지 영향을 줘 졸업순위 변동 등 문제가 발생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이에 따라 올해 졸업생인 70기에게는 모두 기존 학점제 평가방식을 적용키로 했다”고 해명했다.
육사가 이런 조치를 내린 배경으로는 전체 정원의 10분의 1에 불과한 여생도들의 일반학 성적이 남생도보다 월등히 좋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성적산정 방식 변경을 두고 성차별 논란이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육사는 졸업성적에 따라 군번의 끝자리를 ‘001, 002’ 순으로 부여하고 있어, 군인으로 복무하는 내내 몇 등으로 졸업했는지 군번만으로 알 수 있다. 여성이 수석을 하는 것이 육사가 가진 남성중심 문화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라는 말이다.
이에 대해 육사 관계자는 “성적산정 기준을 개선한 것은 기존 평가체계가 일반학 위주의 반영비율이 과다해 이를 개선하고 육사의 지향 방향인 ‘지적역량과 군인적 자질을 겸비한 정예장교 육성’의 목표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1년여의 연구과정을 거쳐 시행하게 된 것”이라며 “개선된 군사적 능력과 신체적 능력에 대한 평가방식은 남녀 신체적 차이를 고려한 평가기준이 별도로 있기 때문에 상대적 피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군의 여성들의 약진을 막으려는 시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앞서 육군은 여자대학의 학군사관후보생(ROTC)이 다른 대학의 후보생들보다 군사훈련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자 지난해 6월 학교별 순위를 매기지 않도록 제도를 변경한 바 있다.
당시 육군은 “후보생간 위화감을 막기 위해 학교별 순위를 폐지하고 최우수·우수·보통 등 등급제 평가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살제로는 2012년 하계 훈련에서 숙명여대, 2012~2013년 동계 훈련에서 성신여대가 100여개의 대학 학군단 가운데 1위를 차지한 일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