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에 스마트폰에도 수신료 부과?

방통위에 정책 건의서 제출.. 네티즌 “KBS 안보기운동 하자”

KBS가 방송통신위원회에 스마트폰과 PC 등에도 수신료를 부과해달라는 정책 건의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KBS 이사회가 임시이사회를 열고 수신료를 25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안을 의결한 지 일주일 만이다.

17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KBS의 수신료 인상안에는 수신료 부과대상을 TV수상기에서 TV수신카드가 장착된 컴퓨터, 지상파DMB 등 이 외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통신단말기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담겨 있다.

즉,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모든 IT기기로 수신료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데스크탑까지 보유한 사람은 이동통신요금과 별도로 대당 4000원씩, 매달 1만 2000원을 내야 한다.

 
 

앞서 수신료 인상안 의결 소식이 전해지자 언론시민단체 등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여야 추천 이사들 간에도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반쪽자리 인상안이라는 것이다.

수신료 인상에 이어 스마트폰과 PD 등에도 수신료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것처럼 비판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KBS가 “수신료 인상안과 별개의 정책제안 사항일 뿐”이라고 해명하고 나섰지만 이를 바라보는 네티즌들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관련보도를 접한 네티즌들은 “언론으로써 해야할 일은 전혀 하지 않으면서, 공영방송이라는 미명아래 밥그릇 챙길 생각만 하는구나(카피카피**)”라는 원색적인 비난에서 “케이비에스(kbs)안보기운동 한번 합시다(bu-**)”과 같은 강경발언도 잇따르고 있다.

김광진 민주당 국회의원도 트위터를 통해 “장기적 플랜일지라도 국민감정과 괴리 되서 계속 이러면 KBS자체의 존폐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라고 우려를 표명했으며, 정중규 대구대학교 한국재활정보연구소 부소장은 “시청료거부운동을 부르는 기사”라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