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대화록 초안-수정본 차이 ‘님’ 뺀 정도

檢 “의미 있는 차이” 사법처리 방침

참여정부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에서 삭제됐다가 검찰이 복구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과 이지원을 복제한 이른바 ‘봉하 이지원’에서 새로 발견된 대화록은 ‘김정일 국방위원장님’에서 ‘님’을 빼는 정도의 차이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지난 5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은 검찰 조사에서 “대화록 초안의 ‘김정일 국방위원장님’을 수정본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 ‘저는’을 ‘나는’으로, ‘저희’를 ‘우리’로 바꾸는 등 미미한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조 전 비서관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배석해 대화를 녹음하고 국가정보원이 푼 녹취파일과 자신의 메모를 토대로 대화록을 작성해 이지원에 등록한 당사자로 남북대화록 조사와 관련해 참여정부 관계자로는 처음으로 검찰에 소환됐다

하지만 검찰은 이를 노 전 대통령 측의 주장처럼 “미미한 수정”이 아니라 “의미 있는 차이”로 보고 있다.

특히 검찰은 두 대화록이 ‘초안’과 ‘최종본’이 아니라, 각각 ‘완성본’과 ‘최종본’이라는 전제 하에 먼저 등록한 대화록을 삭제한 행위에 대해 사법처리 방침을 굳힌 상태다.

또 ‘노 전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 한 달 뒤인 2008년 1월 기록담당 비서관 회의를 급히 열어 이지원에서 대화록을 삭제할 것을 지시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조 전 비서관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조 전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은 2007년 말부터 거의 매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었으며, 이 때마다 이지원 자료 등을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넘기기 위한 이관 준비를 수시로 점검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초대 대통령기록관장인 임상경 전 청와대 대통령기록관리비서관도 소환해 애초 등록된 대화록의 삭제 경위와 대화록을 대통령기록물로 분류해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은 경위 등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