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경찰’ 막말 조명철…‘허위학력’ 논란 재조명

아이엠피터, ‛북한간첩 vs성공한 탈북자’ 국정원이 ‘좌지우지’

ⓒ아이엠피터
ⓒ아이엠피터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회에서의 ‘광주의 경찰’ 발언이 논란이 되면서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의 과거 ‘허위학력’ 문제가 재조명되고 있다.

정치·사회분야 전문 블로거인 ‘아이엠피터’는 20일 자신의 블로그에 <‘광주의 경찰’ 막말 조명철, 박사학위를 안기부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조 의원의 ‘허위학력’ 논란을 집중 분석했다.

아이엠피터는 이 게시글에서 “조명철 의원의 허위학력 논란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안기부(현 국정원)가 이미 북한의 학위 시스템을 알고 있으면서 일부러 ‘준박사’를 박사로 둔갑시켰다는 점”이라면서 “북한 간첩으로 조작되거나 성공하는 탈북자가 되는 이 모든 것을 국정원이 좌지우지 한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명철 의원은 지난 19대 총선에 비례대표로 출마하면서 학력 논란에 휩싸였고, 북한 학력과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형사 고발됐다. 지난 2013년 1월 14일 서울고등법원은 재정신청을 기각했다.

조 의원은 “제도가 다른 북한의 학제와 직제를 대한민국의 학제와 직제로 표기하는 문제는 정부 당국이 전문가 및 관련 기관의 자문을 받아 정하기 때문에 개인의 의견이 개입될 수 없는 시스템”이라고 주장했으며, 서울고등법원의 처분에 따라 허위학력은 무혐의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아이엠피터는 “조명철 의원이 허위학력 문제는 자신이 아니라 한국 정부의 문제라고 주장하는 배경에는 그만한 이유가 다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3월 30일자 <중앙일보>보도를 인용, “조명철 의원은 자신은 준박사이며, 오히려 국정원이나 청와대, 새누리당에서 경력을 위조했으며, 자신은 그럴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고 적었다.

ⓒ 아이엠피터
ⓒ 아이엠피터

이어 “조 의원이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배경은 1994년 탈북 당시를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면서 “북한 고위층의 탈북 사태를 부각하기 위해 안기부는 조명철의 ‘준박사’는 ‘박사’로 상급교원(북한은 교수, 부교수라는 학직을 받은 사람은 소수이며, 나머지는 상급교원, 교원으로 불린다)은 ‘교수’로 바꿔 보도했다고 전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1994년 귀순 당시 안기부(현 국정원)에서 내가 ‘준박사’라고 하니 국가정보원에서 그냥 박사로 써도 된다고 인정했다. 국가기관 차원에서 북한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감안해서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이라는 조 의원의 <주간조선>과의 인터뷰를 제시하기도 했다.

아이엠피터는 “문제는 조명철은 그때부터 박사출신 1호 탈북자와 김일성 종합대학 교수라는 학력과 경력을 통해 한국에서 승승장구하며 국회의원까지 됐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명철 의원이 종북세력을 말하는 이유가 자신을 박사로 만들어 준 안기부에 대한 보은이 아니겠느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아이엠피터 해당글 보러가기)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