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반대’ ‘박민 퇴출’ 청원글 쇄도…동의 1천명 넘어, KBS 답변해야
KBS 시사 프로그램 <더 라이브>가 갑작스레 편성 삭제되자 제작진들이 사측과 편성책임자에 답변을 요구하고 나섰다.
<더 라이브> 제작진은 지난 14일 KBS 사내에 입장문을 개시하고 “군사작전을 방불케 했던 ‘더 라이브’ 결방 사태, 이에 대해 사측과 편성책임자는 제대로 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시청자들에게 양해를 구하기 위해 아무리 문의해봐도 ‘방송사 사정’이라는 것이 이유의 전부”라며 “당연히 방송사 사정이지 ‘신문사’ 사정이겠나”라고 비꼬고는 “구멍가게가 하루 문을 닫더라도 이유를 적시하고 양해를 구한다. 무엇 때문에 이런 감당 불가의 ‘작전’이 감행된 것인지 그 이유를 묻고, 후속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제작진은 먼저 “아무런 예고, 협의 없이 편성변경을 결정한 자는 누구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정규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특별 편성을 했다면, 필시 명백하고 긴박한 이유가 있을 터, 그 정당한 사유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또 “‘깜깜이’ 결방 결정에 ‘더 라이브’ 시청자 게시판에는 비난의 목소리가 들끓고 있고, 언론은 대서특필하고 있으며, 심각한 공사 이미지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이에 대해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고 추궁했다.
아울러 편성규약과 단체협약을 정면으로 위반하면서 진행된 결방 결정 과정에서 규정 위반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는지, 인지하고도 그냥 무시한 것인지 이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더 라이브> 제작진 일동은 “시청자와의 약속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회사 이미지를 급전직하 추락시킨 이번 결방 사태에 대해 회사와 편성책임자는 즉시 답하라”라며 “어물쩍 시간 끌 일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13일부터 KBS 시청자 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더 라이브 폐지 반대’ ‘박민 사장 퇴출’ 청원이 잇따라 1000명 이상 동의를 받으면서 사측에서 30일 안에 답변할 의무가 생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