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민생현장 파고들겠다’더니…최경영 “적어도 참사 1주기엔 현장 갔어야”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의 초청엔 응하지 않은 윤석열 대통령이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대신 서울 성북구 영암교회를 찾았다.
윤 대통령은 29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등 여당 지도부와 함께 자신이 초등학교 1학년 시절부터 중학교 1학년 때까지 다니던 곳으로 알려진 해당 교회를 찾아 추도사를 했다.
윤 대통령은 예배에서 “지난해 오늘은 제가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저와 같은 마음일 것”이라며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빈다.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또 “우리는 비통함을 안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며 “불의의 사고로 떠난 분들이 사랑했던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에게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누구나 안전한 일상을 믿고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바로 그 책임”이라며 “반드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그분들의 희생을 헛되게 만들지 않겠다는 다짐”이라고 했다.
아울러 “정부가 지난 한 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대한민국’이란 목표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암교회에서 추도사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마음은 전국, 세계 어디나 똑같다고 생각한다”면서 “서울광장이든 사고현장이든 성북동 교회든 희생자를 애도하는 마음은 똑같다”고 주장했다.
관련해 최경영 KBS기자는 윤 대통령이 영암교회에서 예배 중인 사진을 SNS에 공유하고는 “왜 여기인가? 이태원참사 1주기에. 장소가 주는 의미가 있는가? 없다. 누가 보기에도”라고 꼬집었다.
그는 “옆에 김기현 대표가 앉아 있어야 했을까? 뒤에는 이상민 장관이 보여야 했을까? 여당 의원들과 대통령실 관계자들에게 둘러싸여 예배를 보면 본인의 속마음은 편안했을까? 본인 속마음 편한 것만 생각하고, 유가족들의 평생 가슴앓이에 대해서는 아무 생각이 없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니까 참사와 동떨어진 장소에서 정부의 무책임만 생각나게 하는 인사들과 함께 했겠지. 생각해 보니 용산구청장도 1년 전 그 용산구청장이지 않은가”라고 꼬집었다.
최경영 기자는 특히 “참사 1주기에는 현장에 있어야 했다”며 “대통령이 당신이 갑자기 태도를 돌변해 공무원들에게 지시한 민생의 현장은 이태원이었다. 추모제 현장이었다. 2022년 10월 29일에 그렇게 못했으면 그다음 해인 올해라도 그랬어야 했다”고 성토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서울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자 1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 추도사를 통해 “이태원 참사 특별법의 신속한 통과로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묻고,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책임 있는 정부 당국자들은 오늘 이 자리조차 끝끝내 외면했다. 국가는 참사 때도, 지금도 희생자와 유족들 곁에 없다”면서 “그렇게 반성하지 않는 마음, 책임지지 않는 태도가 오송 참사와 해병대원 사망이라는 또 다른 비극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태원의 그날을 모두가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라며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국가의 책임을 바로 세우겠다. 10.29를 기억하며 진실을 향한 싸움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