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탈당 러시에도 ‘대세 지장 없다’ 고약한 심보…洪지지 2030 분노에 공감”
황희두 노무현재단 이사가 “청년들에게 상처 주는 윤석열 측의 ‘낡은 셈법’”을 비판하며 “더불어민주당, 열린민주당, 정의당 등은 윤석열 측의 대처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과 청년세대의 가교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황 이사는 9일 페이스북을 통해 2030세대의 국민의힘 탈당 움직임을 언급하며 “‘명분 없는 원팀’ 강조가 더 이상 오늘날 청년들에게 먹히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윤석열 측에서는 현실을 애써 부정하며 오히려 청년들을 자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황 이사는 “(윤석열 측에서는) 눈에 뻔히 보이는 현실마저 ‘역선택’, ‘40명이 전부’라고 조롱하고 무시하며, 아무리 난리 쳐봤자 대세엔 지장 없다는 고약한 심보를 내보이고 있다”며 “그러니 김종인 씨는 ‘2030 탈당이 본선에 지장 없다’라는 주장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비록 지지하는 당은 다르지만 홍준표 후보를 지지하던 2030 청년들의 허탈감과 분노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만약 저런 사람이 대통령이 된다면 현재 대놓고 무시당하는 청년들은 물론이고, 윤석열 패거리를 제외한 이들에겐 얼마나 끔찍한 나날들이 펼쳐질지 벌써 눈에 훤하다”고 했다.
황 이사는 “한 인간을 고작 ‘한 표’로 취급하던 구시대의 산물인 여의도식 셈법은 다음 대선을 끝으로 윤석열&국민의힘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져야 한다”면서도 “이것은 국민의힘만의 문제가 전혀 아니”라고 짚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열린민주당, 정의당 등은 윤석열 측의 대처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며 “이를 계기로 그간 열심히 준비하던 청년 정치인 및 지망생들이 치고 나올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의미에서 다음 대선은 민주당 vs 국민의힘이라는 낡은 구도를 넘어 새로운 대한민국 정치를 맞이할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 같다”며 아울러 “당장의 투표권은 없지만 청소년들도 계속해서 챙겨야 한다. (제가) 현실 정치보다는 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집중한 이유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황희두 노무현재단 이사는 “학교 폭력, 게임을 좋아하는 청년들의 스트레스, 입시 압박, 메타버스 등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 기후변화 문제 등 청소년들과도 함께 고민할 일이 참 많다”면서 “앞으로도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청소년들에게 최대한 힘을 보태고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