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현대사’ 5·18 이어 4·3 역사왜곡 지적에도 “폐기 안해”

“공무원 바른 역사 인식, 공적활동 도움돼…큰 방향 문제없다”

경기도가 5·18광주민주화운동에 이어 제주4·3항쟁에 대해서도 역사적 사실을 왜곡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경기도 현대사> 폐기에 대해 재차 거부 입장을 밝혔다.

경기도청 비서실의 한 관계자는 21일 ‘go발뉴스’에 “제주4·3사건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있어 일부 사실관계에 오기가 있었다. 저자와의 협의를 통해 일부 수정할 계획이다”면서도 “폐기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경기도현대사>와 전혀 다른 '지식채널 e'의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 현황 ⓒEBS 화면 캡처
<경기도현대사>와 전혀 다른 '지식채널 e'의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 현황 ⓒEBS 화면 캡처

앞서 지난 20일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1일부터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무고하게 희생당한 사건이다. 그런데 4·3사건을 공산주의 세력에 의한 무장반란과 연관시켜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청 비서실의 관계자는 “김달삼 남로당 핵심 간부가 북으로 도피한 후 북에서 영웅 칭호를 받고 좋은 평가를 받은 건 사실”이라며 “무고한 양민이 희생당한 사실을 적시했다. 양면을 균형있게 서술했다”고 답했다.

역사 왜곡 지적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현대사>를 교육 교재로 활용하려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비서실의 관계자는 “공무원의 바른 역사 인식은 공적활동에 도움이 된다. 대한민국의 성장과 성공의 배경을 아는 것은 공무원의 공적 활동에 도움이 된다”며 “(경기도 현대사의) 큰 방향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경기도 현대사>의 역사 왜곡 지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경기도의회 양근서 의원(민주당‧안산6)은 7일 도의회 임시회에서 “‘5·18기념재단’에 <경기도현대사>의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 서술에 대한 의견을 조회한 결과 ‘<경기도현대사>의 미국의 역할 및 책임에 관련된 부분은 왜곡된 주장이며 5·18의 진행과정 및 피해자 현황 등에 대해 명백한 오류를 보이고 있어 교과서로서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받았다”며 <경기도 현대사> 전량 폐기를 김문수 도지사에게 요구했다.

한편, 경기도가 4천여만원을 들여 공무원 교육교재로 제작한 <경기도현대사>는 뉴라이트 계열 ‘교과서포럼’을 이끈 이영훈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쓴 ‘대한민국 편’과 경기문화재단이 쓴 ‘경기도 편’으로 구성돼 있다.

대한민국 편의 경우 제주4·3항쟁, 5‧18광주민주화운동 외에도 4.19혁명, 5.16쿠데타 등의 역사 해석을 놓고 논란을 낳기도 했다.

<경기도현대사>는 오는 7월부터 경기도청과 시·군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교재로 사용되고, 이 교수가 직접 강사로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