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CJ대한통운 갑의 횡포 중단하라”

파업 확산‧장기화될 전망…'새로운 수수료 제도' 등 양측 입장 팽팽

CJ대한통운 택배기사들의 파업이 확산‧장기화될 전망을 보이고 있는데 가운데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이 10일 “CJ 대한통운, ‘갑의 횡포’ 중단하라”며 “일방적 수수료 인하와 과도한 벌칙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심 의원은 이날 논평을 내고 “택배시장에서 CJ대한통운은 “슈퍼 갑”이다. 그러나 CJ대한통운이 택배 노동자에게 한 조치들은 가혹하다 못해 택배 노동자들의 인권을 처참히 짓밟는 행위“라며 이같이 밝혔다.

심 의원은 또, “이번 사측의 조치는 10여 년 간 동결되었던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인하하고, 배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사고 등에 대해서는 무조건 택배 노동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 택배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심각하게 저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CJ대한통운은 택배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과도한 벌칙제도를 철회해야 한다”며 “특히 아내까지 연대보증을 세우게 하는 전근대적 노예계약과 다름없는 연대보증인제는 폐지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우리 사회가 택배 노동자들의 인권과 노동권을 보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파업중인 CJ대한통운 택배기사의 차량에 부착된 현수막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 제공
파업중인 CJ대한통운 택배기사의 차량에 부착된 현수막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 제공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CJ대한통운 택배기사들의 파업이 확산되고 장기화될 전망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4일 목포·부천·시화지사에서 파업은 시작됐고, 10일 현재 서울·경기·인천·광주·전주 등 10개 지역 택배기사 1천여명이 CJ대한통운에 대한 운송 거부에 들어갔다.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윤종학)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직 동참하지 않은 기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어 파업 규모가 커질 조짐"이라며 "회사측이 비대위 요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교섭에 나서지 않으면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배송수수료 인상 ▲고객 불만 시 부과하는 벌칙 폐지 ▲택배 물건의 파손·미배송 등에 대한 책임전가 금지 ▲보증보험·연대보증인제 폐지 등 12개 요구안을 확정하고 회사측에 교섭을 요구했다.

핵심 쟁점인 수수료 문제에 대해 비대위측은 CJ GLS와 대한통운 합병 이전에 1건당 880∼950원이었던 수수료가 합병 이후 800∼820원으로 줄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CJ대한통운 회사측은 계속해서 진화에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J대한통운 홍보실의 한 관계자는 수수료 인상에 대해 지난 7일 'go발뉴스‘에 “4월 통합 이후 운영시스템 개선 및 효율 향상, 새로운 수수료 체계 도입으로 실질적인 수입은 늘어날 것이다”고 밝혔다.

택배 물건 파손‧분실 부과 제도에 대해 그는 “4월 통합부터 패널티 적용은 한 건도 없었고, 앞으로 적용할 계획없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운행 중단하신 분들뿐만 아니라 13000여명의 CJ대한통운 택배기사님들이 자부심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10일 ‘go발뉴스’에 “실질적 수입이 늘어난다는 새로운 수수료 체계는 회사가 합쳐져 일감이 늘었으니 더 일을 해서 더 벌라는 의미”이라며 “말장난이나 다름없다”고 비난했다.

택배 물건 파손‧분실 부과 제도의 적용이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는 사측의 입장에 대해 이 관계자는 “그렇게 떳떳하고 당당하다면 교섭에 나와서 협상하자”며 “지금 당장이라도 파업을 그만 둘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