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실‧사고 기사 책임 부당, 1천여 동참”…회사측 “적용 안해”
CJ대한통운의 택배기사들이 분실‧사고 책임을 모두 택배기사에게 부과한 ‘패널티 제도’에 반발해 파업에 돌입했다.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7일 ‘go발뉴스’에 “4월 3일 통합 이후, 분실‧사고 책임을 모두 택배기사에게 부과한 ‘패널티 제도’에 반발해 지난 4일 270명의 택배기사들이 파업에 돌입했다”며 “현재(7일) 전국 1000여명의 택배기사들이 동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예전부터 불거져온 수수료 인상 문제도 요구한다”며 “현재 건당 720원(부과세 별도)의 수수료를 받고 있다. 이를 850원으로 인상해 달라”고 말했다.
그는 “설비 투자 등으로 택배회사도 어렵다는 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택배기사들이 훨씬 어렵다”며 “본의 아니게 택배를 받지 못해 피해를 보고 계신 고객분들께 죄송한 마음뿐이다. 빨리 일터로 돌아가고 싶다”고 언급했다.
이어 “화요일이면 한 사람당 200건 정도 배달을 한다, 현재 1000여명이 파업 중이니, 오늘 하루 20여만건의 택배 배달 지연이 예상된다”며 “20여만명의 고객분들께 죄송하다”고 말했다.
CJ대한통운측은 ‘패널티 제도’ 적용은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CJ대한통운 홍보실의 한 관계자는 7일 'go발뉴스‘에 “4월 통합부터 패널티 적용은 한 건도 없었고, 앞으로 적용할 계획없다”고 밝혔다.
수수료 인상에 대해서는 “4월 통합 이후 운영시스템 개선 및 효율 향상, 새로운 수수료 체계 도입으로 실질적이 수입은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운행 중단하신 분들뿐만 아니라 13000여명의 CJ대한통운 택배기사님들이 자부심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