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서점 ‘베스트셀러 사재기’ 방조‧공조 의혹 있다”

사회평론 대표 “조사해봤다”…한 대형서점 “사실 무근”

출판사 사재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형서점들이 베스트셀러의 사재기를 방조하고 나아가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한국출판인회 공동부회장 윤철호 사회평론 대표는 9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출판물불법유통신고센터) 운영위원장을 맡으면서 초기에 대형서점들이 사재기를 방조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다는 여러 가지 제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재기 의심 구매 비율 ⓒSBS 화면 캡처
사재기 의심 구매 비율 ⓒSBS 화면 캡처

윤 사회평론 대표는 “사재기 업체를 통해서 사재기가 가능한가 조사를 해봤더니 실제로 대형서점들에서 가능했다”고 말했다. 윤 부회장은 민간감시기구인 출판물불법유통신고센터 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윤 대표는 또, “지금 많은 분들이 (자음과모음 출판사 사재기 의혹이) 빙산의 일각이 아닐까 걱정한다”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적발 방법으로 윤 대표는 “사실은 간단히 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책을 사는 정보에 대한, 정보를 장악하고 있는 건 교보문고, 예스24 같은 대형서점들”이라며 “대형서점들이 정보제공에 협조하면 그 사재기 부분들을 충분히 적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베스트셀러) 정보들을 관리하는 주체는 (조사할 권한이 없는) 민간 사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베스트셀러 수집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보자고 (대형서점 등에) 제안했었다”며 “그런데 온라인 서점이나 대형서점에서는 반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대표는 아울러, “공공적인 정보로 제공되는 측면이 있는 (베스트셀러) 정보들을 관리하는 사회적 감시장치가 없다”며 “민간 출판산업진흥법 규정에 의해서 센터가 만들어지긴 했는데 운영을 민간 자율적으로 하다 보니까 수사권도 없고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사재기 근절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 등 국가 기관이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박지호 간사는 9일 ‘go발뉴스’에 “사재기는 출판사간 공정 경쟁을 막는 행위”라며 “공정거래위원회 등 국가 기관이 직접 나서서 사재기를 적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형서점들은 ‘대형서점들이 인터넷 사제기를 방조하거나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대형서점 홍보팀의 한 관계자는 “출판사의 사재기에 방조하거나 적극적으로 동조한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절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재기는 손익 부분에서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 건에 한 권씩 주문하는 사재기는 배송비 2000~3000원을 제외한다면 이익이 되지 않는다”며 “사재기는 (대형서점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한 건에 여러 권씩 주문하는 경우, 판매량과 주문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베스트셀러 산출 방식에 의해, 베스트셀러로 카운팅 되지 않는다”며 “베스트셀러를 위한 사재기에 방조 또는 적극적 공조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베스트셀러 산출 방식은 홈페이지에도 안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대형서점들이 정보 제공을 안 하고 있다는 주장 역시 잘못됐다”며 “이번 사재기 의혹을 보도한 ‘SBS 현장 21’이 분석한 10만건의 자료는 출판물불법유통신고센터에서 나왔다. 출판물불법유통신고센터의 자료는 대형서점들이 제공한 것이다. 정보 제공에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되는 것만 못 드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