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MBC 사장 퇴진’ 의견 67%…‘공영방송 정상화’ 이뤄질까

‘리서치뷰’ 여론조사…‘朴정권서 공영방송 역할 불충실’ 74%

박근혜 정권 당시 임명된 KBS와 MBC 사장에 대한 내부 구성원들의 퇴진 요구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 사이에서도 양 사의 사장과 이사진들이 퇴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제공=뉴시스>
▲ <사진제공=뉴시스>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가 2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KBS와 MBC가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4%가 ‘충실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반면, ‘충실했다’는 답변은 21%에 그쳐 부정평가가 긍정평가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별로 보면 70대 이상(충실 54%)과 자유한국당 지지층(64%)를 제외한 다른 계층에서는 모두 부정평가 의견이 우세했다. 연령으로 보면 19세‧20대(85%)와 30대(82%), 40대(84%)의 부정평가가 80%를 넘었으며 지역과 직업 별로는 호남(83%), 화이트칼라(83%)에서 부정의견이 높았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충실 41%, 불충실 56%)과 중도층(19%, 75%), 진보층(11%, 85%)을 막론하고 모두 부정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85%)과 정의당(86%) 지지자들의 부정응답이 80%를 상회했다.

KBS‧MBC 사장과 이사진의 거취문제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7%가 ‘공영방송 위상회복을 위해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방송법에 규정된 임기를 보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18%에 머물렀다. 무응답은 15%였다.

▲ <자료제공=리서치뷰>
▲ <자료제공=리서치뷰>

이같은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언론노조와 KBS‧MBC 구성원들의 공영방송 정상화 투쟁에도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최근 언론노조 소속 양사 노조와 PD, 기자들은 잇따라 성명을 내고 박근혜 정권에서 임명된 자사 사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한편, 내년 1월부터 시행이 예정된 ‘종교인 소득 과세’ 논란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83%가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2년 더 유예 해야 한다’는 의견은 13%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리서치뷰가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휴대전화 가입자 1050명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RDD방식을 통해 진행됐다. 통계보정은 2017년 4월말 현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성ㆍ연령ㆍ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0%p, 응답률은 5.5%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리서치뷰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