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선거개입 탄핵사유”…시민감시 캠페인단 “불법개입 여기 신고하세요”
새누리당 공천에서 비박계 인사들이 대거 탈락해 ‘학살 공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부산을 방문했다.
지난주 ‘윤상현 막말 녹취록’ 파문 와중에도 10일 대구‧안동을 방문한데 이어 대통령의 두번째 지방행으로, 총선개입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 수산가공선진화단지, 부산 사하사랑채노인복지관을 차례로 방문했다. 해당 지역은 진박 현역 의원과 예비후보들의 여론조사 경선 등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앞서 대구 방문 때도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바로 옆 지역을 포함해 진박 예비후보들이 출마한 지역구를 골라 방문해 선거개입 논란을 자초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에서 벌어지는 비박 대학살 공천의 배후에 청와대가 있음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라며 “대통령이 대구에 이어 부산을 방문한 것도 공천과 선거에서 진박 후보들을 지원하고 있다는 뜻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민주화 이후에 역대 어느 대통령이 이렇게 선거에 몰두하고 노골적으로 개입하려 했는지 자성하라”며 “선거 개입을 당장 중단하지 않는다면 선거가 시작되기도 전에 국민적 역풍이 크게 불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도 논평을 내고 “친박-비박 간 공천 갈등으로 이반된 민심을 붙잡기 위한 애처로운 몸부림이자 명백한 선거개입이라고 판단한다”고 반발했다.
부산시당은 “집권 후반기 레임덕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 등 TK 지역을 시작으로 부산까지 내려와 총선 지원활동을 하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김정현 대변인도 논평에서 “누가 봐도 새누리당 내의 비박계 낙천 파열음을 최소화하고 소위 ‘진박’ 후보들을 지원하기 위한 위력시위 성격이 짙다”며 “창조경제센터를 만든 이유가 창조적 선거지원 활동을 위한 것이었다는 비난을 받아도 싸다”고 성토했다.
배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트위터에서 “박 대통령, 너무 노골적으로 총선에 개입한다”며 “부산 시민은 ‘선거의 여왕’에게 진절머리가 난다, 국가 채무는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데 오로지 자기 사람들 챙기기에만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제가 어렵다면서 남 탓만한다, 그나마 잘 하는 것처럼 보였던 안보도, 외교도 모두 파탄지경”이라며 “부산 시민들은 대통령이 제발 일 좀 하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우용 역사학자는 “김대중‧노무현 때 족벌언론들은 대통령이 국회에 개입하면 ‘의회주의’ 훼손이라면 극력 비난했다”며 “그런데 지금은 국회가 대통령의 수족 노릇하는 게 당연하다고 한다”고 일갈했다.
전 박사는 “이런 언론의 영향 하에 사는 것보단, 일관성 있는 기계의 지배를 받는 게 훨씬 안전한다”고 언론 행태를 꼬집었다.
김진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대통령 선거개입은 탄핵사유”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참여연대는 “박 대통령의 대구방문, 탄핵을 당해도 할 말없는 노골적인 ‘선거개입’”이라며 “국가기관들도 발맞춰 불법개입 할 건가요? 안됩니다!”라고 성토했다.
참여연대는 “20대 총선은 국가기관의 선거개입이 없는 공정한 선거가 돼야 한다”며 “시민을 우롱하는 국가기관의 선거개입행위를 시민이 직접 감시해달라”며 시민들의 감시와 신고 참여를 촉구했다.
관련 2016총선시민네트워크의 ‘국가기관 선거개입 시민감시 캠페인단’은 ‘개입 STOP! 시민감시 START!’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해당 기입란을 통해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로 알려주면 총선넷이 사실관계를 파악하여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하고 감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신고 페이지 바로가기 > https://goo.gl/NdnLrb
SNS에서는 “대통령이 모든 공천을 다 관리 하고 있고 선거 운동까지 하고 있구나!”(ich*****), “선관위와 언론이 제일 큰 문제다, 어디에도 노무현 탄핵 때처럼 비판이 나오지 않는다”(pres*****), “노무현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박근혜는 탄핵 100번은 당했다”(taew*****)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