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아베 비판하던 박근혜, 유사한 비난에 직면”

호주 ABC “교과서 통제, 北에서나 볼 수 있는 퇴행적 움직임”

박근혜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외신들도 이 같은 국내 상황을 비중있게 타전하고 있다.

<이미지제공 = KBS1>
<이미지제공 = KBS1>

뉴욕타임즈(이하 NYT)는 지난 13일 “Park Geun-hye of South Korea Defends Move to Issue State History Textbooks-한국 박근혜, 국정 역사교과서 추진 옹호”라는 제목의 아시아판 기사를 통해 박근혜 정부가 “한국이 외세에 점령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기사는 야권을 비롯해 각계 시민사회의 다양한 반대 의견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역사교과서 채택의지를 강하게 보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아베 정부가 교과서를 이용해 일본의 근대 식민 역사에 대한 은폐와 점점 심해지는 국수주의적 시각으로 일본 청년들을 세뇌시키고 있다고 수차례 비난해온 박근혜 정부가 한국 내 비판가들로부터 유사한 비난에 직면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또 “2013년에 보수 학자들이 대안 교과서를 출간했다”고 전하면서 “그러나 그 교과서는 친일 식민주의자들의 과거를 축소해 기술하고 박정희의 업적은 과장했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그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는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NYT 기사 전문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1Llr3uG

Park Geun-hye of South Korea Defends Move to Issue State History Textbooks
한국 박근혜, 국정 역사교과서 추진 옹호
By CHOE SANG-HUN
OCT. 13, 2015

SEOUL, South Korea — President Park Geun-hye on Tuesday defended her government’s decision to teach children history with government-issued textbooks, arguing that the move was aimed partly at preventing the country from ever again being dominated by a foreign power.
한국 서울 – 박근혜 대통령은 화요일 정부 발행 교과서로 아이들이게 역사를 가르치겠다는 정부의 결정을 옹호하며 이 움직임이 또 다시 한국이 외세에 점령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We are witnessing a rapid shift in Northeast Asia and its vicinity,” Ms. Park said in her first reaction to a political firestorm ignited by the government announcement on Monday. “Given the situation, if we don’t try to inculcate the students with historical convictions and pride, we may be culturally and historically subjugated by another country.”
박 대통령은 “동북아시아와 그 주변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고 월요일에 있었던 정부 발표로 불붙여진 정치적 반발에 대한 첫 대응으로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학생들에게 역사적 신념과 긍지를 주입시키려 노력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정복당할 수도 있다.”

Ms. Park made the comment in a meeting with her senior presidential staff, according to her office, hours before leaving for the United States for a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Obama.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떠나기 몇 시간 전 수석 비서관 회의에서 그렇게 말했다.

The two leaders are expected to discuss South Korea’s increasingly tricky balancing act between the United States, its biggest military ally, and China, its main trading partner. Last month, Ms. Park was the only leader from a major American ally to attend a military parade in Beijing that highlighted China’s growing quest for military influence in the region. Ms. Park has met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several times while shunning Prime Minister Shinzo Abe of Japan, another crucial American ally.
두 정상은 가장 큰 군사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한국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박 대통령은 주요 미동맹국의 국가 지도자 중 유일하게, 동북아에서 더욱 자라나는 중국의 군사력을 과시했던 베이징 열병식 행사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을 여러 차례 만난 반면 다른 주요 미동맹국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만남은 피해왔다.

Under Ms. Park, South Korea has repeatedly accused Mr. Abe’s government of using textbooks to indoctrinate young Japanese with a whitewashed and increasingly nationalistic version of its modern colonialist history. But she faced similar accusations of propagandism from her domestic critics after her government decided to place itself in charge of writing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박근혜 정부 하에서 한국은 아베 정부가 교과서를 이용해서 일본의 근대 식민 역사에 대한 은폐와 점점 심해지는 국수주의적 시각으로 일본 청년들을 세뇌시키고 있다고 수차례 비난해왔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직접 집필하겠다고 결정한 후, 박근혜는 한국 내의 비판가들로부터 유사한 비난에 직면하게 됐다.

On Tuesday, the main political opposition warned of a major legislative gridlock, threatening to block budgetary and other bills at the National Assembly unless the government withdrew the decision.
화요일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철회하지 않으면 국회에서 예산처리나 그 외 다른 법안처리를 막겠다고 으름장을 놓으며 심각한 입법 교착상태를 경고했다.

Many history professors said they would not accept the offer even if the Education Ministry invited them to join a panel of historians that the government said would write new textbooks.
많은 역사 교수들은 정부가 말한 새로운 교과서를 집필하는 역사학자 집필진으로 교육부가 자신들을 선정한다 해도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In a message widely circulated online, Moon Jae-in, the main opposition leader, targeted Ms. Park when he said, “A good president makes history, a bad president makes history books.”
온라인상에 널리 퍼지고 있는 글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박 대통령을 겨냥해 “훌륭한 대통령은 역사를 만들고, 나쁜 대통령은 역사교과서를 만든다”고 말했다.

Ms. Park’s opponents feared that Ms. Park would use the new textbooks to gloss over the legacy of the country’s conservative elites, including her father, the former military dictator Park Chung-hee. Many conservative former leaders, like Mr. Park, were accused of collaborating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y subsequently led South Korea during its rapid economic growth but also jailed and tortured dissidents, branding them Communists.
박 대통령의 반대 인사들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아버지인 전 군부독재자인 박정희를 포함한 한국의 보수 세력들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새 국정교과서를 이용할 것을 우려한다. 박정희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과거 보수 대통령들은 20세기 초 한국의 일본 식민지배 당시 친일 행적을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들은 그 후 한국에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반대 인사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감옥에 가두고 고문을 하기도 했다.

On Tuesday, Ms. Park showed no sign of backing down.
화요일 박 대통령은 철회할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History education should never be used for political strife or ideological confrontation to divide the people and the students,” she said, accusing the opposition parties of stoking “unnecessary controversy.” She said her government was trying to arm young Koreans with “correct historical views and values.”
박근혜는 야당들이 “불필요한 논쟁”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역사교육은 결코 국민과 학생들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분쟁이나 사상적 대립에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박근혜는 정부가 “올바른 역사관과 가치”로 젊은이들을 무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Currently, schools are free to choose from among eight history textbooks, distributed by private publishers after the government approved them. But Ms. Park and her conservative supporters faulted the books, saying they were written by left-leaning historians and teachers with “ideological biases.”
현재 각 학교는 정부가 승인한 후 민간 출판업자에 의해 배포된 8종의 역사교과서들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 보수 지지층은 그 교과서들이 “사상적 편견”을 지닌 좌편향적 역사학자들과 교사들에 의해 집필됐다며 현 역사교과서들이 잘못됐다고 말했다.

In 2013, conservative scholars published a rival textbook. But it was accused of playing down the legacy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and exaggerating the achievements of Mr. Park, and few schools have adopted it.
2013년에 보수 학자들은 대안 교과서를 출간했다. 그러나 그 교과서는 친일 식민주의자들의 과거를 축소해 기술하고 박정희의 업적은 과장했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그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는 거의 없었다.

그런가하면 같은날 호주 공영방송 ABC는 호주 국립대학 전략과 국방 연구센터 객원 연구원인 엠마 캠벨 박사의 인터뷰를 통해 단일 국정 역사교과서의 추진이 무모하고 위험스러운 일임을 지적했다.

Photo: The Correct History Textbook will be the only history book allowed in South Korea’s high schools. (Reuters: Jo Yong-Hak)사진: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한국 고등학교에서 허용될 단일 교과서가 될 것이다.
Photo: The Correct History Textbook will be the only history book allowed in South Korea’s high schools. (Reuters: Jo Yong-Hak)사진: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한국 고등학교에서 허용될 단일 교과서가 될 것이다.

엠마 캠벨 박사는 “북한을 포함해 교과서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몇몇 나라들을 볼 때 그것이 매우 퇴행적인 움직임이라고 보는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나와 뜻을 같이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다양성과 민주주의, 그리고 표현의 자유를 고무시켜야 할 나라가 이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사실이 실망스럽고 의외”라고 말했다.

캠벨 박사는 역사교육 방법을 통제하려는 박근혜 정부의 움직임은 한국내 정치적 문제들과 연관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현 정부는 우익이고, 현직 대통령은 독재자 박정희의 딸 박근혜”라면서 “그녀가 이끄는 정당과 정부의 많은 사람들이 1987년까지 한국을 통치한 독재 정권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보수 정권 내부에는 그 시대의 성과와 또한 당시 역사 속에서의 자신들의 역할, 그리고 자기네 정당의 역할이 보다 긍정적으로 반영되도록 당시 역사가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ABC 기사 전문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ab.co/1Gb9Gjn

South Korea to replace all school history books with single state-approved textbook
한국 정부, 고교 역사교과서를 단일 국정교과서로 바꾸다
The World Today By Mandie Sami
Updated about 8 hours agoTue 13 Oct 2015, 2:59pm

South Korea’s government has announced a controversial plan to replace a variety of history books with a single textbook approved by the state.
한국 정부는 다양한 역사교과서들을 단일 국정교과서로 대체한다는, 논란 많은 계획을 발표했다.

Currently high schools can choose from books released by eight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but the government said those were all too left-wing.
현재 고등학교는 8개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정부는 이들 교과서가 모두 좌편향이라고 말했다.

By 2017, The Correct History Textbook will be the only history book allowed in South Korea’s high schools.
2017년이면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한국 고등학교에서 허용될 유일한 역사교과서가 될 것이다.

It will be written by a government-appointed panel of history teachers and academics.
이 교과서는 정부에서 인선하는 일단의 역사 교사와 역사학자들에 의해 집필될 것이다.

Opposition politicians and some students have already been protesting against the move, accusing the government of “distorting history”.
야당 정치인들과 일부 학생들은 정부가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며 이미 이 움직임에 반대해왔다.

Dr Emma Campbell, a visiting fellow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s Strategic and Defence Studies Centre, said the move was unexpected and disappointing.
호주 국립대학 전략과 국방 연구센터 객원 연구원인 엠마 캠벨 박사는 그러한 움직임은 뜻밖이고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I think I’m joined by quite a lot of people in South Korea who think it’s quite a regressive move, especially when you look at the few countries who have such tight control of the textbooks, which include North Korea,” she said.
“나는 특히 북한을 포함해 교과서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몇몇 나라들을 볼 때 그것이 매우 퇴행적인 움직임이라고 보는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나와 뜻을 같이 한다고 생각한다”고 그녀는 말했다.

“So I think it’s a disappointing and surprising move by a country that really should be encouraging diversity and democracy and freedom of speech.”
“그래서 나는 다양성과 민주주의, 그리고 표현의 자유를 고무시켜야 할 나라가 이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사실이 실망스럽고 의외라고 생각한다.”

Dr Campbell said she believed the move to control how history is taught was related to domestic political issues in South Korea.
캠벨 박사는 어떻게 역사를 가르칠 것인지 그 방법을 통제하려는 이 움직임은 한국 국내 정치적 문제들과 연관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The current government is from the right and its leader and Korea’s current president is Park Geun-hye, who is the daughter of the former authoritarian dictator of South Korea Park Chung-hee, and many people in her party and in the current government have ties to the previous authoritarian regime that ran Korea until 1987,” she said.
“현 정부는 우익이고, 그 수반이자 한국의 현직 대통령인 사람은 전 독재자 박정희의 딸 박근혜이며 그녀가 이끄는 정당과 정부의 많은 사람들이 1987년까지 한국을 통치한 독재 정권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캠벨 박사는 말했다.

“And I think there is a desire within the right wing government to control the presentation of that history in order to perhaps reflect more positively on the achievements during that time and also their role and the role of their party in that history.”
“그리고 이 보수 정권 내부에는 그 시대의 성과와 또한 당시 역사 속에서의 자신들의 역할, 그리고 자기네 정당의 역할이 보다 긍정적으로 반영되도록 당시 역사가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생각한다.”

Dr Campbell said the textbook could bolster opposition and anger toward an already unpopular government.
캠벨 박사는 그 역사교과서는 이미 대중적 인기를 잃은 정부에 대해 반대와 분노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how the government responds to that strength of opposition,” she said.
“한국 정부가 그런 강한 반대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고 캠벨 박사는 말했다.

“One hopes that it will encourage them to review their decision about creating one single textbook.”
“단일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결정을 그로 인해 재고하게 되기를 바란다.”

South Korea not the first to control how history is taught
한국이 역사 교육을 통제한 최초의 나라는 아니다.

Educationalist Michael Dunn told the BBC South Korea was not alone, with school history lessons causing controversy in Western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교육학자 마이클 던은 한국이 유일한 나라가 아니고 미국이나 영국 같은 서방 국가들에서도 학교 역사수업이 논란을 야기했다고 B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I think the Americans have a constant running battle between liberals and more conservatives about how they should present their past,” he said.
“미국인들이 자신들의 과거를 어떻게 보여줄지에 대해 진보주의자들과 더 많은 수의 보수주의자들 사이에 끊임없는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고 그는 말했다.

“One side would like to present a glor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ast – in their view this makes the country a happier place.
“한쪽에서는 미국의 영광스러운 과거 역사를 보여주고 싶어 하며, 그들이 보기에 이것이 미국을 보다 행복한 곳으로 만든다.”

“On the other hand, the liberals in the United States are much keener to present perhaps a more social view of the past and give a voice to people who have been oppressed.
“한편 미국의 진보주의자들은 과거에 대해 보다 사회적 시각을 보여주는 일에 훨씬 더 관심이 있으며, 이들은 억압을 받아 온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준다.”

“I think also the UK have a very interesting approach. We tend to avoid controversial history in our curriculum, we’re very keen on looking at more distant history and somehow, for some reason the less controversial it becomes.
“영국 또한 이에 대해 대단히 흥미로운 접근을 하고 있다고 나는 본다. 우리는 우리의 교육과정에서 논란을 일으키는 역사를 피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아주 먼 과거의 역사를 보는 데에 중점을 두며, 그렇게 해서 어쨌든, 어떤 이유에서건 논란은 줄어든다.”

“But there are very few younger students in our school who will be able to tell you about British involvement in, for example, the Iranian coup d’état or how we handled the Suez crisis which was certainly not the most glorious points in our history.”
“그러나 지금 우리 학교에, 영국이 관여한, 예를 들면, 이란 쿠데타에 대해, 혹은 영국 역사상 절대로 자랑할 만하다 볼 수 없는 수에즈 위기 대처법에 관해 당신에게 설명할 수 있는 어린 학생들은 거의 없다.”

Mr Dunn warned that the censorship of history was dangerous.
던 교수는 역사를 검열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고 경고했다.

“History just provides us with vital skills,” he said.
“역사는 우리에게 필수적인 능력을 갖추게 해줄 뿐이다”고 그는 말했다.

“I personally believe that the skills involved in history – that is, empathising with the past, understanding what made people do the things that they did – that is what makes history such an important thing to study.”
“나는 개인적으로, 역사와 관련된 그 능력들이 – 즉, 과거와 공감할 수 있고 과거 사람들이 행한 일들에 대해 왜 그렇게 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 역사를 우리가 공부해야 할 중요한 학문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