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지역 대표성 무시? 대의기관 직무유기” vs 정의당 “與, 정치적 압력 도 넘어
내년 4월 총선의 선거구를 정해야 하는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시한을 열흘 남겨놓고도 농촌 지역구 의원의 반발 등으로 결론은커녕 다음 회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김금옥 획정위원은 2일 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을 열고 “오늘 지역선거구수를 결정하기 위해 7시간 넘게 논의를 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등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6개(244~249석)의 안 중 가장 합리적인 지역선거구수가 무엇인지를 두고 획정위원들간 논쟁이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역선거구수를 현행대로 246석으로 유지하거나 249석으로 늘리는 두 안을 유력하게 검토했지만 어떠한 안을 선택해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인구편차 2대 1 기준을 준수하면서 의석수 감소가 불가피한 농어촌 지역의 대표성 확보 방안을 담아내기가 쉽지 않아 고심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선거구 획정위가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채 산회하면서 다음 전체회의 일정도 잡지 못했다. 이에 따라 다음 회의가 열린다고 해도 단일안 도출은 불투명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지역구 의석수 결정에 실패한 데 대해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며 비난전을 펼쳤다.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여러 번 강조했지만 농어촌 지역구 수는 줄일 수도 없고, 줄여서도 안 된다”면서 “농어촌 지역을 축소하고 통합하여 지역 대표성을 무시하는 것은 대의기관의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새누리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줄이는 것만이 해결책인 양 주장하는 것은 정치개혁 본질을 외면한 정치공세”라며 “우리 당은 획정위가 독립적 의사결정기구로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낼 것으로 기대하고 그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새누리당의 정치적 압력이 선을 넘어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대변인은 “(새누리당이)위헌요소가 있는 ‘농어촌 특별선거구’ 도입을 공공연하게 주장하는가하면 대놓고 획정위 회의 일정까지 간섭하려고 시도했다”며 “더욱이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공식 회의석상에서 국민의 투표권을 보호하는 비례대표제에 색깔론까지 덧씌우려는 파렴치한 행동도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욕심 때문에 추해지는 모습을 보이지 말고 부끄러운 언행은 자제하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