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승용 “국정원 직원, 119보다 먼저 현장 발견?”

소방대원과 상황실 녹취록에서 현장 발견 시점 의혹 제기

주승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가정보원 직원 임모 과장의 사망 사건 당일 소방대원보다 국정원 직원이 현장을 먼저 발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주 의원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안전행정위원회 국정원 직원 자살 관련 현안보고에서 수색 당시 현장 119대원과 상황실과의 무전 녹취록 일부를 거론하며 이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주 의원에 따르면, 실제로 이날 11시35분 10초~11시36분 33초 사이 이뤄진 수색 현장의 소방관과 119 상황실과의 통화 녹취록을 보면 수색 장소 등에 관한 문답이 오가다 상황실에서 “그 관계자한테 한번 물어보세요”고 지시하자 소방대원은 “어디 관계자?”라고 답했다.

상황실에서 다시 “그 저기… 그 위치추적 관계자 같이 없어요?”라고 묻자 소방대원은 “없어. 그 사람들 차 가지고 가서 그 사람도 나름대로 찾아준다고…”라고 답했고, 이에 상황실은 “그럼 그 사람한테 전화해 가지구요, 고라지골 어디로 올라가는 건지 그쪽도 한번 이렇게 수색을 하라고 하거든요”라고 지시했다.

ⓒ 국가정보원
ⓒ 국가정보원

주승용 의원은 “이 대화를 보면 수색 현장에 나타난 국정원 직원은 1명이 아니라 여러 명이었고 수색에 대해 소방 보다 앞선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상황실 소방관이 어떻게 위치추적과 관련된 관계자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의원은 “이는 누군가가 고라지골을 수색 하라고 상황실에 지시를 했고 그 지시를 한 사람은 고라지골이 사건 현장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라며 “무전 내용을 보면 국정원은 소방관이 사건 현장을 발견하기 전에 이미 어디가 사건 현장인지 알고 있었던 것처럼 해석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주 의원은 당시 사건 현장에서 경찰이 ‘폴리스라인’도 설치하지 않았고 기본조차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그는 “통상 사건사고 현장에는 폴리스라인을 치고 현장을 보존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경찰은 외부 접근을 막기는커녕 폴리스라인도 설치하지 않았다”며 “현장이 아무런 통제없이 고스란히 공개되면서 기자들이 차량 내부를 찍을 수 있도록 얼마든지 접근할 수 있었다. 현장이 보존이 아니라 방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여러 정황을 살펴보면 경찰이 무언가 의도적으로 또는 지시에 의해 일부로 폴리스라인 설치를 하지 않은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며 “이번 사건 수사에서도 형식적으로 수사하는 척만 하고 사건을 조속히 종결하려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