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노동위 “해고자 복직, 회사 이미지에 도움.. 사고의 대전환” 주문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2명이 대화를 요구하며 굴뚝 농성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사측이 “절대 타협하지 않고 단호히 대처하기 위해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5일 쌍용차 측은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해고 노동자인 이창근 정책기획실장과 김정욱 사무국장 등 두명이 지난 13일 새벽 4시경 평택공장 내 70m 높이의 굴뚝에 올라 농성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회사 주요 기간 시설물을 불법점유하고 있는 것은 분명 극단적이고 비상식적인 불법행위”라고 규정, 이같이 밝혔다.
사측은 “그동안 해고 노동자들이 외부 노동단체들과 연계해 쌍용차 불매운동, 대규모 집회·시위 등을 통해 쌍용차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방해하는 수많은 해사 행위(회사를 해롭게 하는 행위)를 한 지 오래되었으며 또 다시 이번과 같은 극단적이며 비상식적인 불법행위를 자행한데 대해 이제는 우려를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사측은 또한 “극단적인 불법행위는 현재 회사의 종합적인 경영상황을 고려할 때 5000여 전 임직원과 가족 그리고 협력업체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이기에 이에 대해 원칙적이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쌍용차 측은 특히 “복직문제는 투쟁이나 정치 공세 등 외부의 압력을 통해 해결 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현재 회사 정상화를 위해 묵묵히 일하고 있는 쌍용자동차 직원과 협력업체 구성원들의 고용 안정이 보다 우선 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더욱이 현재처럼 논란 제기가 지속된다면 쌍용차는 기업이미지 훼손 및 국제 신인도 하락에 따른 판매 부진으로 경영 정상화를 통한 8.6 노사합의 이행에도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조계종 노동위원회는 고공 농성 돌입과 관련, 쌍용자동차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조계종 노동위는 “쌍용차가 2009년 정리해고 당시에 비해 경영이 호전돼 인력도 더 많이 필요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정리해고자 165명의 복직을 더 이상 미룰 하등의 이유가 없다“면서 “쌍용차는 극한적이고 대립적이고 배타적인 생각으로 해고 노동자들을 대하지 말고 그들을 대승적으로 과감히 포용하는 경영정책을 펼치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고자들을 복직 시키는 것이 회사 경영과 이미지에 훨씬 도움이 될 거라는 사고의 대전환을 하기 바란다”며 “노동위원회도 이웃 종교와 힘을 합쳐 쌍용자동차 해고자들이 이번에는 공장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