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윤회’ 보도 일파만파.. 靑, 문건 시인? ‘패닉’

기자실 다시 찾은 민경욱.. 구체적 검증 추궁에 “아는바 없다”

ⓒ <세계일보> 인터넷판 캡처
ⓒ <세계일보> 인터넷판 캡처

‘비선실세’ 의혹 등을 받고 있는 정윤회 씨가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측근 소위 ‘문고리 3인방’을 통해 청와대 국정에 관여했다는 <세계일보> 보도가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세계>는 28일, <정윤회 ‘국정 개입’은 사실>이란 제하의 단독기사를 통해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사이 속칭 ‘증권가 찌라시’에 떠돌던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교체설’은 정윤회 씨가 자신의 비선라인을 활용해 퍼트린 루머였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청와대 내부 문건에 따르면, 공직기강비서관실은 올 1월 6일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VIP측근(정윤회) 동향’이라는 제목의 동향 감찰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당시 서울 여의도 정치권에서 떠돌던 ‘김 실장 중병설’ ‘김 실장 교체설’과 같은 루머의 진앙이 어디인지를 감찰한 결과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모임에는 소위 ‘비선 실세’로 불리는 이재만(48) 총무비서관과 정호성(45)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48) 제2부속비서관을 비롯한 청와대 내부 인사 6명, 정치권에서 활동하는 청와대 외부 인사 4명이 참석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임은 대개 안봉근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과 K 행정관이 청와대 내부 사정과 현 정부 인사 동향을 보고하는 식으로 시작됐다. 정씨는 정부 고위관료 인사와 청와대 내부 인력 조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했으며, 안 비서관 등을 통해 상당히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고 감찰 보고서는 기록하고 있다.

특히 보고서는 정씨가 “(김 실장은) ‘검찰 다잡기’가 끝나면 그만두게 할 예정이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면서 ‘검찰 다잡기’라는 표현은 지난해 연말 검찰 상황에 비춰봤을 때 의미심장한 대목이라고 <세계>는 지적했다.

정씨는 지난해 이들과의 송년 모임에서 김 실장의 사퇴 시점을 “2014년 초·중순으로 잡고 있다”면서 참석자들에게 정보지 관계자들을 만나 사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정보를 유포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는 현재 공식 직함이 없는 정씨가 자신과 가까운 청와대·정치권 내부 인사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등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세간의 ‘그림자 실세’ ‘숨은 실세’ 의혹이 사실임을 드러낸 것이어서 파문이 예상된다고 <세계>는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경찰 출신 A경정이 조응천 당시 공직기강비서관 지시로 작성했고, 김 실장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감찰 보고서가 제출된 지 한 달 만에 A경정은 원대복귀했고, 조 비서관은 그로부터 두달 뒤 사표를 제출했다.

 
 

한편, <세계일보> 보도와 관련 청와대는 “세계일보에 청와대 관련 보도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며 “보도에 나오는 내용은 시중에 근거 없는 풍설을 모은 이른바 찌라시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당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오늘안에 고소장을 제출하는 등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세계일보> 보도 문건이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작성된 것인지에 대해 “(<세계일보>에) 사진이 나왔다”면서 “비슷한, 유사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 문건을 바탕으로 보고를 받은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

또 김기춘 비서실장이 문건을 보고받았는지에 대해선 “실장은 이 사실을 알고 있다”고 말해 김 실장도 해당 문건을 보고받았음을 시인한 셈이다.

그러나 이후 기자실을 다시 찾은 민 대변인은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공식문서로 보고가 됐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는데 그런 풍문이 돈다는 것을 구두보고 형식으로 한 것”이라며 “공식문서로 보고를 받은 건 아니다”라고 재해명했다.

다시 찾은 기자실에서 민 대변인은 진땀을 흘렸다. ‘문건 내용이 허위 찌라시 수준이라는 사실을 어떻게 확인했냐’는 질문에 그는 “사실확인을 했다”며 “직접 물어볼 수도 있고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기자들이 ‘3인방 등 당사자에게 물어보고 아니라고 하니까 덮었다는 것인가’라고 재차 묻자 민 대변인은 “구체적 확인절차에 대해선 들은 바가 없다”고 답했다. 이어 기자들이 ‘구체적 검증은 없었다는 뜻인가’라고 추궁하자 그는 “아는 바가 없어서...” 라고 말을 흐렸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