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 범대본, 민간잠수사 건강관리 부실 인지.. 그러나 ‘입단속’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는 사고 현장에 투입된 구조함 등 지원 장비로도 충분히 구조작업을 벌일 수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 구조현장에서는 감압챔버 부족으로 민간잠수사들이 철수하는 등 구조작업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27일 <노컷뉴스>는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이하 범대본) 회의록을 분석한 결과, 당시 통영함이 사고 현장에 투입되지 못했지만 다른 구조함에 있는 감압챔버 등 구조장비를 통해 충분한 구조작업 지원을 하고 있다는 정부의 설명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당시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잠수사들이 잠수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 중이고, 피로누적 등으로 인해 치밀한 건강관리가 없으면 관리가 부족한 민간잠수사들의 사고 위험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이 같은 보고 뒤 해양수산부 소속 고위관계자는 “바지선에 있는 챔버 이용시 심해잠수를 하지 않은 UDT 등이 치료를 받고 있어 민간잠수사가 제때 치료를 못 받은 적이 있다고 민간잠수사가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잠수규정 미준수 등은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며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말라”고 당시 회의 참석자들에게 입단속을 요구했다.
이 같은 회의록 내용은 잠수사들의 건강과 직결된 감압챔버가 부족해 해군 UDT 요원 등 일부 정부측 잠수사들이 주로 이용하고 민간잠수사의 경우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고 <노컷>은 지적했다.
특히 정부는 당시 민간잠수사들의 건강문제와 관련한 세월호 실종자 가족 등의 문제제기에 대해 “지원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반복했지만 실상은 범대본 역시 감압챔버 부족 등 민간잠수사들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고, 게다가 이를 외부에 공개하지 말라며 입단속까지 시킨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