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구조 매뉴얼은 없어도 면피 매뉴얼 확실”
진도 세월호 침몰 사고로 정부의 재난 대처 무능력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가운데 대형 선박사고 발생 시 충격 상쇄용 아이템을 발굴하라는 해양수산부의 언론대응 지침이 알려지면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24일 해수부가 공개한 ‘해양사고 위기관리 실무 매뉴얼’에는 세월호 참사처럼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 해수부 언론담당자는 관련 상황에 대한 언론 브리핑과 함께 여론 주의를 분산시킬 대체 기사도 개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지침의 존재가 알려져 비난이 쏟아지자 해수부는 이날 오후 늦게 해당 부분을 삭제했다.
실제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정부가 해당 매뉴얼을 실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국방부가 지난 22일 “큰 것 한 방을 준비하고 있다”는 북한 내부 첩보내용과 함께 발표한 북한의 4차 핵실험 임박설이다.
국방부는 북한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가림막을 설치했다 제거하는 등 임박 징후가 포착됐다며“비유하자면 언제든 비행기를 탑승할 수 있는 오픈 항공티켓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작 북한은 같은 날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묻는 ‘공개 질문장’, 세월호 참사 조의 전통문을 보내며 등 비상상황과는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북한의 핵실험 강행 여부에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 있는데도 세월호 참사로 위기에 몰린 우리 정부가 핵실험 비상 정국으로 몰아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이번에 공개된 해수부 등 정부 부처 매뉴얼은 대통령 훈령을 근거로 작성된 만큼 아직 공개되지 않은 다른 부처 ‘위기 대응 매뉴얼’에도 같은 내용이 담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향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역사학자 전우용 씨는 자신의 트위터에(@histopian) “해수부 위기관리 매뉴얼에 ‘대형 해상사고 발생 시 충격을 상쇄하고 여론의 괸심을 돌릴 아이템을 발굴하라’는 내용이 있답니다. 굳이 다른 거 발굴할 필요 있나요? 모든 걸 덮어주는 마법의 주문이 있는데. ‘북한 도발 임박’이라 꼬집었다,
파워트위터리안 레인메이커 역시 (@mettayoon) “해양수산부의 위기대응 매뉴얼에 대형 선박사고 발생 시 충격 상쇄용 아이템을 발굴하라는 언론대응 지침이 포함돼 있는 사실이 확인. 구조에 대한 매뉴얼은 없어도 면피 매뉴얼은 확실한 정부”라며 비판했다.
네티즌들도 “이건 정부가 아니라 완전 사기꾼, 모리배 집단이었군요. 이제야 그동안 있었던 숱한 물타기식 언론플레이가 모두 이해되네요”(@kmu****), “아예 대놓고 물타기를 하라는 의미인가요?”(@zar****), “다 알고 있는 거지만 문서로 드러났군요”(@rh0****), “기가 막히는군. 해수부 위기대처 매뉴얼이란 게 여론을 분산시킬 다른 충격요법을 준비하라는 것이었다니. 국방부가 ‘큰 거 한방 있다’고 설레발 떨었던 게 세월호 참사로 박근혜에게 쏠리는 비난을 돌리기 위한 것이었군.(@du0****)라며 분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