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장님 ‘지시말씀’…“직무 범위 맞지 않아 부적절”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논란과 관련 “김정일이 NLL을 없애자는 발언에 동조했기 때문에 포기라고 본다”고 말했다.
남재준 원장은 5일 헌정 사상 처음으로 국정조사 특위의 국정원 기관보고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NLL 대화록 공개는 자신의 독자적 판단 하에 이뤄진 것”이라며 청와대와의 연계설을 부인했다. 또 대화록을 공개와 관련해 “역사적으로 책임지겠다”고 발언했다.
국정원이 국회 국정조사의 기관보고 대상이 되고, 현직 국정원장이 증인으로 출석한 것은 1961년 국정원 전신인 중앙정보부 창설 이래 처음이다.
남 원장은 이날 기관보고 기조발언에서 국정원 대선개입과 관련 “진위 여부를 떠나 지난 대선 때 국정원 직원이 연루된 사건으로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대선에서 원세훈 전임원장의 이른바 ‘지시 말씀’에 대해서는 “직무 범위에 맞지 않다. 부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민주당 김민기 의원은 “김씨를 가녀린 여성으로 묘사했는데 국정원 직원의 모든 훈련을 다 받았고, 경찰은 ‘나올 거면 통로를 확보해주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스스로 안 나왔다. 이러고도 감금인가”라고 따져물었다.
이에 남 원장은 한동안 답변을 못하다가 “다시 파악해서 보고 드리겠다”고 말했다.
국정원 직원들이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모욕적 댓글을 작성한 것과 관련에서는 “국정원 직원 신분이 아니라, 개인 신분으로 했지만 부적절하다”고 말해 댓글을 단 사실을 스스로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남 원장은 “국정원의 댓글 활동은 정상적인 대북 심리전 활동이고, 사태의 본질은 전직 국정원 직원이 정치적 이익을 위해 대선 개입으로 호도한 정치 공작”이라며 검찰의 공소 사실을 사실상 부인했다.
이에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국정원 직원들에 대해 상명하복 관계를 이유로 불기소했는데, 개인 신분이라면 상명하복 관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기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