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불응하면서 ‘국민과 함께’ 운운…내란 세력 목표는 ‘시간끌기’”
‘12·3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공수처의 세 차례 소환 통보를 뭉개고 있는 ‘내란 수괴’ 윤석열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일어나자 SNS를 시작했다.
윤석열은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29일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에서 사고 수습과 피해자 지원에 최선을 다해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적고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소방대원들과 모든 구조 인력의 안전도 최우선으로 지켜질 수 있도록 힘써 주시길 바란다”며 “이 어려운 상황을 하루빨리 극복할 수 있도록 저도 국민 여러분과 함께 하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오마이뉴스 이충재 기자는 30일 “윤석열의 ‘제주항공 참사’ 정략적 이용, 경계한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수사에는 응하지 않으면서 ‘국민과 함께’ 운운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 비판하고는 “‘친위 쿠데타’를 일으킨 윤석열의 목표는 단 한 가지 시간끌기”라고 짚었다.
그는 “지난 27일 헌재 첫 탄핵심판에서도 윤석열의 전략이 분명히 드러났다. 국회의 탄핵소추가 적법한지 여부를 앞으로 재판에서 따지겠다고 밝혔고, 적법하게 이뤄진 송달 절차를 문제삼겠다고도 했다. 앞서 윤석열 변호인 측은 변론 준비기일 연기를 요청했다가 헌재로부터 거절당하기도 했다”고 되짚으며 “헌재 재판을 지연시키겠다는 뜻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셈인데, 국민의 시선이 무안 참사로 쏠린 틈을 타 시간끌기 전략을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윤석열-정부-국민의힘 등 내란 세력의 목표는 한 가지 방향을 향하고 있다”며 “헌재 구성을 6인 체제로 유지시켜 심리는 하더라도 탄핵 결정을 못하도록 막자는 속셈”이라고 분석했다.
이 기자는 특히 “국가적 대재난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인명 구조와 사태 수습이 국정의 최우선 과제임은 분명하다.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도 추모 물결에 동참하고 신속한 사고 수습을 촉구했다”라고 강조하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헌재 심판과 수사를 지연시키려는 내란 세력의 시도는 국민들로부터 용납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신에선 이번 사고를 한국의 정치적 격변과 연관시켜 보도하고 있다”며 “이런 예기치 못한 재난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국 혼란을 조기에 종식시키고 리더십을 다시 세우는 일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향후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한 데 대해 주진오 상명대 명예교수는 SNS를 통해 “이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 더구나 국민의 기본권까지 제한하려 해서도 안 될 일”이라며 “애도는 국민들 각자가 하면 되고, 기간을 정할 일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목숨을 위협하는 친위쿠데타에 실패한 뒤에도 사법절차를 무시해 오다, 갑자기 국민의 목숨을 걱정한다는 윤석열의 후안무치. 도대체 친위쿠데타 이후 국회 출석도 거부하고 사법절차를 방해하던 대통령실 정진석 실장이, 갑자기 왜 회의를 소집하는 것이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공무원만 입을 수 있는 민방위복을 입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중앙에 앉아 회의를 주재하는 권성동 국힘 원내대표의 월권행위. <연합뉴스> 기사의 제목에 ‘권성동 권한대행’이라고 써 있다. 마치 그가 이 나라의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도 된 것 같이 보인다”고 꼬집었다.
주진오 교수는 “이런 것이야 말로 비극적인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며 “그가 ‘모든 정쟁을 중지하자’고 하는 의도가 무엇이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고 법적 절차에 따라 헌법재판관의 임명을 요구하는 것은, 정쟁이 아니라 당연한 국민의 기본 권리”라 강조하고는 “우리 국민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남을 배려하는 정신이 뛰어난 특별한 사람들이다. 결코 그대들의 눈속임에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