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방송장악 점령군 내려보내…‘땡윤뉴스’ 협조 않는 언론인들 때려잡을 건가”
김홍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가 국민권익위원장 겸직 논란에 대해 13일 “적절한 시기에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김홍일 후보자는 이날 정부과천청사 인근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오늘은 (권익위에) 휴가를 내고 왔고, (권익위원장 자리는) 적절한 시기에 정리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자는 ‘전문성 부족’ 지적에 대해 “그런 우려를 잘 듣고 있다”면서도 “제가 그동안 법조계와 공직을 거치면서 쌓아온 법률 지식이나 규제와 관련된 여러 경험들을 토대로 제게 맡겨진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해서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가짜뉴스와 공영방송 개혁, 포털 규제 등에 있어 전임자의 기조를 이어가겠느냐는 질문에는 “반드시 규제라기보다 저에게 맡겨진 역할을 성실히 그리고 정성껏 수행하겠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의 겸직 논란에 대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전날 입장문을 내고 “양손에 떡을 쥐고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김 후보자가 현직 국민권익위원장 자격으로 오늘 국무회의에 참석했다고 한다”며 “오후에는 후보자 자격으로 방통위 업무보고를 받는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직 권익위원장이 방통위 업무보고를 받는 초유의 사태이자, 웃지 못할 촌극”이라며 “언론장악에 눈먼 윤석열 정권의 블랙 코미디”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나라야 어찌 되든 하루라도 빨리 제2, 제3의 이동관을 방통위에 앉혀 언론장악을 이어가겠다는 아집”이라며 즉시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정치검사로 수사권을 편파적으로 휘두르고 전관예우로 재산을 증식해 온 김 후보자의 실체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김 후보자는 2013년 검찰 퇴직 후 기업과 로펌에서 근무하면서 재산을 5배나 늘린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전관예우로 쌓은 재산이 윤석열 정부가 말하는 자수성가인가”라며 “본질은 결국 윤석열 정권의 방송장악을 위한 점령군을 내려 보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 대변인은 “‘저승사자’ 김홍일 후보자를 앞세워 ‘땡윤뉴스’ 제작에 협조하지 않는 언론인들을 야당과 결탁했다며 때려잡을 목적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최민희 전 민주당 의원은 13일 “대통령 검사 선배는 국민권익위·방통위 쌍위원장 겸직해도 된단 건가”라고 반문했다.
최 전 의원은 SNS에서 “살다살다 별 희안한 정권 봄”이라며 “권익위에 휴가 내고 방통위로 출근한 김홍일, 비판없는 언론”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의원은 야당 몫의 방통위 상임위원 후보자로 내정됐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7개월 넘게 임명하지 않자, 이에 항의해 지난달 7일 사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