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식 “대통령실이 국민에게 줄리 소환, 왜?”…장윤선 “어처구니없는 대응”
대통령실과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김건희 여사의 ‘명품 쇼핑’ 논란에 대해 해명하면서 과거 ‘쥴리 의혹’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참모들이 무능력하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1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재진을 만나 ‘명품 쇼핑’ 논란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미 과거에 ‘쥴리’라든지 ‘청담동 술자리’라든지, 이런 식으로 여야 간 정쟁화가 됐다”며 “그래서 어떤 팩트를 갖고 얘기해도 그 자체가 정쟁의 소재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더 정쟁의 소재를 만들지 않는 것이 차라리 나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이날 밤 KBS 1TV ‘더라이브’에 출연해 대통령실 입장에 대해 설명하면서 ‘쥴리 의혹’을 언급했다.
김병민 최고위원은 “어떤 해명을 하더라도 꼬리를 물고 정쟁의 소지로 이어질 수 있다면 수해 피해를 입고 있는 수많은 국민들을 생각할 때 함구하는 게 옳겠다”고 옹호했다.
그는 “민주당은 정치공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사실 관계가 아니라고 하면 또 꼬투리를 잡아서 이어지게 되기에 더 이상 말을 안 보태는 식으로 (대통령실이) 정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 와이’ 소장은 “‘직원 넥타이’를 말했는데 그 대목이 가장 믿겨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14일 <매일경제>를 통해 김 여사가 호객행위 때문에 방문했으며 다음날 방문도 대표단 관계자가 넥타이를 구매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소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본인의 안위도 잊은 채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사즉생’의 각오로 포화속의 한가운데로 들어가고 있는데 수행원이 자기 넥타이를 사겠다고 일정 중에 빠져 나와서 쇼핑하러 다녔다는 것인가”라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김 소장은 “대통령을 수행해 본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면 잠 잘 시간, 양치질 할 시간도 없다더라, 한가하게 쇼핑을 다닌 사람이 있다면 해고 사유”라며 “정말 자기 물건을 사러 갔는지 의심이 들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병민 최고위원은 “처음 보도는 김건희 여사가 쇼핑을 하고 다음날 대표단 일원이 와서 골라 놓은 것을 가져가기 위한 것으로 나왔다”며 “물건을 사오라고 지시할 거면 부속실 직원을 시키지 경호실이 가서 구매할 이유가 있는가”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김 최고위원은 “이런 이야기들이 섞이기 시작하는 순간 다시 정쟁의 목소리로 치닫게 된다”며 “의혹의 쟁점에 지난 날 있었던 줄리 의혹, 청담동 술자리 의혹 등 각종 의혹들이 가짜뉴스로 드러난 바가 있다”고 과거 의혹을 끄집어냈다.
김성회 소장은 “정상적인 정부라면 제2 부속실이 존재했을 것”이라며 ‘부속실장이 나와서 혹은 언론에 비공개적으로 해명했으면 이렇게까지 논란이 커지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또 “대통령 숙소와 명품 샵 위치 등 언론사들이 팩트체크 해주면 되는데 같이 같던 언론사들이 하나같이 입을 딱 다물고 사실관계를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며 “정말 부끄러운 언론의 자화상”이라고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의 ‘쥴리’ 언급에 대해 장성철 소장은 MBC 라디오 ‘신장식의 뉴스하이킥’에서 “대통령 관계자 누가 얘기했는가”라며 무리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장 소장은 “참모들이 무능력하고 대통령 코드만 맞추려다 보니까 저런 무리한 얘기가 나오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신장식 변호사는 “왜 여기서 국민들이 다시 쥴리를 소환하게 만드는지 이해가 안간다”며 “조지 레이코프의 ‘코끼리는 생각하지마’라는 책도 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장윤선 정치전문기자도 “대통령의 코드가 뭐길래”라며 “다 똘똘한 분들이 대통령실에 가서 이런 어처구니 없는 대응을 하는 건지 너무 궁금하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