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김문수 유혈진압 당연? 국가폭력 정당화하나, 사퇴하라”

“극단적 망언들로 정체성 유지…노사정 중재 책임 부정하려면 물러나라”

▲ 지난 5월 4일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등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경제위기 극복 1년, 성과와 과제 '윤석열 정부 출범 1주년 평가 토론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는 모습. 왼쪽은 국민의힘 이철규 사무총장. <사진제공=뉴시스>
▲ 지난 5월 4일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등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경제위기 극복 1년, 성과와 과제 '윤석열 정부 출범 1주년 평가 토론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는 모습. 왼쪽은 국민의힘 이철규 사무총장. <사진제공=뉴시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이 한국노총 금속노련 간부 곤봉 진압에 대해 “경찰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해 야당이 반발하고 있다. 

김문수 위원장은 15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진행자의 ‘경찰의 당연한 법집행인가 아니면 과잉 진압적 성격이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위원장은 “경찰이 당연히 해야 될 일이겠지만 그 과정에 꼭 다쳐야 되느냐 이런 부분에서는 여러 가지로 안타까운 점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의 경사노위 불참에 대해선 김 위원장은 “우리 경사노위 때문에 대화가 중단된 게 아니다”고 했다. 

또 여권의 ‘경사노위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아닌 MZ세대를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김 위원장은 “지금 누구나 동의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14%의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노동자들은 아주 상층부이고, 밑에 영세 중소 하청업체, 비정규직 이런 절대다수 86%는 노동조합 자체가 없고, 자기 목소리를 대변할 길이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16일 “‘경찰의 노동자 유혈 폭력진압’이 당연하다는 김문수 위원장은 당장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국가 권력의 폭력을 이렇게 정당화해도 되는가, 부끄러운 줄 알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한국노총의 경사노위 불참 선언은 ‘경사노위와 아무 상관이 없다’며 자신의 잘못을 끝까지 부정하는 김 위원장의 태도 역시 파렴치하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기업과 노조, 정부와 지자체까지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를 촉진하고 중재해야 할 책임이 김문수 위원장에게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겠다면 자리에서 물러나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한때 ‘노동운동의 전설’이었지만 이제는 입만 열면 망언을 일삼는 극우 인사로 ‘전향과 변절의 아이콘’이 됐다”며 “또 노정관계 파탄의 원흉은 이 같은 인사를 앉힌 윤 대통령”이라고 했다.

▲ <이미지 출처=MBC 화면 캡처>
▲ <이미지 출처=MBC 화면 캡처>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곤봉진압 발언에 대해 “김문수가 김문수했다”라고 비꼬았다.

이정미 대표는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전직 대통령에 대해서 총살감 이런 얘기를 하면서 정말 삐뚤어진 인식, 극단적인 망언들로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시던 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지금 노정갈등의 핵심은 김문수 위원장에 있다”며 “더 이상 직을 유지하는 것은 전체 사회를 위해서 최악이다, 지금 물러나셔야 된다”고 요구했다. 

‘MZ세대 중심 경사노위 재편’ 주장에 대해선 이 대표는 ‘대통령 지지율이 30%대면 70% 국민을 대변하지 못한다고 얘기할 수 있나’라고 비유해 반박했다. 

이 대표는 “노동조합의 대표성은 그 자체로 헌법상의 권리”라며 “예를 들어 80% 노동자를 대표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한다면 현재 대통령 지지율이 30%대밖에 안 되면 70% 국민들을 대변하지 못한다고 얘기할 수 없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 대표는 “이미 조직되고 선출되는 과정에서 대표성이 인정되는 것”이라며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헌법상의 권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