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으로 총선 불가’되면 여당발 공격 시작…‘폐족’ 알고 있는 중진들 도피행렬”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국민의힘의 ‘정진식 비대위’ 출범에 대해 “내홍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책임 있는 총대를 메지 않겠다’는 일종의 도피 행렬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최 전 수석은 7일 MBC 라디오 ‘표창원의 뉴스하이킥’에서 “일종의 런어웨이가 일어나니까 정진석 국회부의장 외에는 대안이 없었던 것”이라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전날 국민의힘은 의원총회를 열어 정진석 국회부의장을 새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박수로 추인했다. 이에 대해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온라인 밈(Meme) 이미지로 불쾌감을 표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는 글이 적힌 ‘개 사진’을 올렸다.
국민의힘의 내홍 수습 과정에 대해 최 전 수석은 “도피 행렬이 시작됐다”며 ‘장제원 의원의 2선 후퇴, 서병수 전국위원회 의장의 사퇴, 박주선 전 의원과 주호영 전 비대위원장의 고사도 그런 것들이 내포돼 있다’고 말했다.
그 배경에 대해 최 전 수석은 “새 지도부는 정상적인 지도부를 정당대회를 통해 출범시키는 원포인트 지도부”라며 “낮은 대통령 지지율, 또 민심을 수습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이 대통령 리더십을 가지고 총대를 멜 수 있겠느냐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 전 수석은 “과거 민주당도 그런 경우가 있었지만 대통령이 민심을 얻지 못하고 지지율이 회복되지 않으면, ‘대통령의 그늘로 총선 치룰 수 없다’ 이런 분위기가 되면 대통령을 여당발로 공격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위 친윤 내지는 총대를 멘 사람들이 공천을 못 받는다든지 정치적으로 소위 ‘폐족’이라고 노무현 대통령 당시 이런 것까지 정치적 경험상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그래서 런어웨이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초·재선 의원들이 ‘신윤핵관’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최 전 수석은 “매우 위험한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국민들은 능력과 안정으로 집권세력을 보는데 두 가지가 다 안 된다. 초유의 사태다”라며 ‘그런 와중에 중진들의 런어웨이가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철학과 정책노선을 공감한 사람들로 오랫동안 정치세력을 만들어오고 함께 해온 과정이 전무하기에 대안세력이 없다”며 “그러다 보니 초재선으로 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도 초보고 집권여당도 초보들이 하게 되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결과로 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난국을 돌파할 방법에 대해 최 전 수석은 “대통령이 빨리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김건희 여사 문제를 분명히 정리해야 한다”며 “지금 제2부속실이나 공적 시스템도 전혀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통합의 정치 이전에 보복정치, 검사 정치로부터 빨리 정상화시키는 것이 이런 문제를 타결할 수 있는 첫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