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 “예상대로 발끈, 의결 밀리자 4명 위원들 박차고 나가”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새누리당 추천 위원들이 ‘대통령 행적 7시간’ 조사 여부를 논의하던 중 “사퇴하겠다”며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차기환·황전원·고영주·석동현 위원 등 여당 추천 특조위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특조위 9층 회의실에서 열린 제19차 전원위원회에서 ‘청와대 등의 참사대응 관련 업무 적정성’ 의안에 대한 조사개시 여부를 결정하던 중 조사에 반대하며 퇴장했다.
여당위원들은 ‘대통령이 유족들에게 약속한 것을 지키지 않은 이유’, ‘대통령의 참사 당일 7시간 행적’ 등을 제외한 부분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부결됐다.
관련해 고(故) 박성호군의 어머니 정혜숙씨는 페이스북을 통해 “여당 의원들이 예상대로 발끈했다”며 “조사상 필요하면 누구든 조사해야함이 마땅하나 조사도 안 해보고 오직 대통령은 참사 개연성 없음만 강조한다”고 회의 상황을 전했다.
정씨는 “열 올리며 보호막 치느라 매우 정치적 발언만 반복하며 발끈하다가 의결에 밀리게 되자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며 “4명의 여당 의원들이 빠진 채 회의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 행적 7시간’ 조사 안건 통과와 관련 해양수산부가 여당위원 사퇴 등을 통해 적극 대응토록 한 문건이 19일 공개돼 파문이 일었다. ‘세월호 특조위 관련 현안 대응방안’이란 제목의 문건으로 “BH(청와대) 조사 관련 사항은 적극 대응한다”, “여당 추천 위원들이 (청와대 대응을 조사해달라는 신청사건에 대한) 소위원회 의결 과정상 문제를 지속 제기하고 필요 시 여당 추천 위원 전원이 사퇴의사를 표명한다”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
실제 상임위 통과 다음 날인 19일 특조위 여당의원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사가 이뤄질 경우 사퇴도 불사하겠다고 엄포를 놨었다.
지난 9월 27일 ‘대통령의 7시간’ 조사신청서를 냈던 고 박수현군의 아버지 박종대씨는 22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사생활은 전혀 궁금하지 않다”며 “(특별한 이유도 없이) 대통령에 대한 조사만 안 된다고 한다면 여당 추천 위원들이 대통령의 호위부대 역할을 한다고 볼 수밖에 없지 않냐”고 일갈했다.
박씨는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은 전체 조사신청서의 한 꼭지에 불과하고, 그것도 콕 집어서 ‘7시간’에 대해 조사해달라고 한 게 아니다”며 “전체적인 청와대의 대응을 조사해달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사고 당일 청와대의 시스템은 상식 이하로 운영됐다”며 “그게 아니라고 떳떳이 밝히지도 못하면서, 이를 밝히기 위한 국민과 유가족들의 노력을 방해하는 것은 (이 문제를) 반드시 조사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오히려 역설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특조위가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한 조사를 마치지 못한다면,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기록에 남겨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못한다면 못하는 이유를 밝혀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