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교과서 국정화 추진 박근혜 대통령 의지 반영된 것”
새누리당 비대위원을 지낸 이상돈 중앙대학교 명예교수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대해 “한심하다”고 정부여당을 비판했다.
이상돈 교수는 15일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청와대하고 정부가 이 사안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며 “무엇보다도 교수집단, 특히 인문계 교수 집단을 안일하게 보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이명박 정부때 정부가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이니까 수자원 토목 교수들이 그냥 따라오더라 이렇게 생각하고 역사 교수들이 뭐 별 수 있겠느냐고 본다”며 “그것은 대학의 인문학 특히 역사 교수 같은 그런 집단은 너무나 모르는 것이다. 한심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가에 반발이 확산되며 집필진 구성이 어려울 것 같다는 시각에 대해서도 “이렇게 되면 교학서 교과서 비슷하게 될 것”이라며 “이것저것 베끼고 이렇다보면 엉터리… 틀리고 그냥 망신(당)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또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가 담겼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 임기 전에 자기 부친(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서 너무 일방적으로 불리하게, 자신이 보기에는 편파적으로 쓴 교과서를 임기 내에 고쳐야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 교수는 정부여당이 가뭄해소 방안으로 ‘4대강 재정비’를 내놓은데 대해서도 “쓸데없는 짓”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4대강에 담아놓은 물이 수질도 나쁘고 형편없이 썩었잖나. 또 가뭄 지역과도 멀다”며 “4대강 사업만 하면 가뭄, 홍수 걱정이 없다고 큰 소리 쳤던 사람들에게 책임 물어야 한다. 뻔뻔해도 분수가 있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